▲1월 2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주제로 토론한 김호일 대한노인회 회장과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
CBS
운임만으로 도시철도 운영비 회수하는 나라는 없다
한편, 김호일 대한노인회 회장은 지하철 적자 원인은 방만한 경영과 낮은 요금 때문이라며 '높은 인건비와 노조 파업'을 지목했다. 개혁신당을 향해서는 '있는 복지도 없애려는 정당을 왜 하느냐'고 비판했다.
김 회장의 말대로 '세월 가면 누구나 노인이 된다'는 진리에 기초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발생한 질병과 실직, 노후대책을 개인에게 맡기지 말고 사회연대로 극복해 가자는 것이 복지국가 이념이라고 할 때, 세대 갈라치기나 노동조합 혐오로 만들어질 복지국가는 없다.
세계 어느 나라도 운임만으로 도시철도 운영비용을 회수하는 경우는 없다. 국영, 시영, 민영인가를 불문하고 운임 외 다른 수입 즉 정부 보조금이나 고속철도와 같은 수익노선의 교차보조로 운영 적자를 벌충한다. 일본 사철이 자신 소유 철로 주변에 대형 쇼핑몰을 건설해 부대수익을 창출한 예외가 있으나 부동산 버블로 이어졌을 뿐이다.
따라서 김 회장의 토로처럼 지하철 적자를 '툭하면 노인 탓'을 해서도 안 되거니와 '툭하면 노조 탓'도 올바른 진단이 아니다. 소득 역진성(소득이 낮은 사람이 더 높은 세 부담을 지는 것)이 강한 교통요금을 현실화한다면 불평등 심화에 따른 또 다른 비용을 누군가는 지불해야 한다.
그럼에도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이유는 운임만으로 계상할 수 없는 사회적 편익 때문이다. 특히 고에너지 비용과 기후위기 시대 친환경 철도로의 모달시프트(Modal Shift, 기존에 이용하던 운송수단을 더 효율성 높은 운송수단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전환교통체계'라고도 함)는 '미래 세대'를 위한 국가적 과제다. 유럽이 '누구나 자가용을 이용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지 않을 것'을 권리로 규정하고 무상교통을 확대하는 이유다.
노인과 철도노동자, 복지예산 삭감 막을 '우군'
대한노인회에서 해법으로 제시한 공공서비스 의무보상 제도(PSO)는 2002년 시작된 철도노동조합의 민영화 저지 투쟁 과정에서 입법됐고, 지하철까지 적용해야 한다는 요구를 지속해서 전개하고 있다. 산업역군이었던 노인과 예비 노인인 철도노동자들은 서로를 적자 주범으로 탓할 관계가 아니라 부자 감세와 복지예산 삭감을 막아내야 할 우군이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이 번 외화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지하철을 건설했고, 그 대가로 노인 무임승차가 실시됐다는 주장 역시 바로잡아야 할 것이며, 파독노동자들에 대한 존경과 함께 기억해야 할 것은 동양의 가난한 나라 이주노동자를 보호한 독일노동조합의 역할이다.
오마이뉴스 <파독 광부·간호사에 대해 잘못 알았던 사실>(2020년 12월 1일 박서윤·안치용 기자) 보도에 따르면 복지제도를 만들어 온 노동조합의 중요성을 경험한 파독 광부 대표 유계천은 '귀국 후 일터 주선과 국제노동기구(ILO) 가입' 등 6개 사항을 박정희에게 요구했다. 하지만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60년대 우리보다 경제력이 앞섰던 북한이 평양 지하철을 착공하자 박정희 전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서울지하철 건설비용을 요청했고, 4% 금리와 일본 기업의 차량과 부품을 쓰는 조건으로 8000만 달러를 빌려왔다. 객차 납품단가는 도쿄 지하철 1량당 3500만 엔보다 비싼 6500만 엔으로 전범 기업들은 폭리를 취했고 한국 관리들에게는 뇌물이 전해졌다고
JTBC 탐사보도팀이 보도(2019년 8월)했다. 지하 서울역에서 청량리까지 서울지하철 1호선을 개통한 것은 북한보다 1년 늦은 1974년 광복절이었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