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왕진 조국혁신당 정책위의장.
권우성
- 윤석열 정부 2년을 총평한다면.
"너무 무능하고 퇴행적이다. 경제, 외교, 평화 모든 문제에서 그냥 못하는 정도가 아니라 심각한 위기를 만들고 있다. 특히 '경제 퍼주기'를 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탄소중립을 규제하면서도 어마어마한 인센티브를 준다. 한국 기업들은 국내에선 재생에너지 공급이 안 돼 규제를 감축할 방법이 없다. 하지만 미국에 가면 재생에너지를 쉽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센티브까지 받으니 안 나갈 이유가 없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가 지난해 8월 IRA 시행 1년 후 외국기업의 미국 투자(1억 달러 이상) 계획을 분석한 결과를 보도했는데 한국이 20건으로 제일 많았다. 이러다 우리나라 산업은 공동화하고 경제가 무너진다. 현대판 매국노다.
또 윤석열 정부 대표적인 정책 기조가 '부자감세 민생감액'이다. 법인세, 종부세, 증여세 등을 대폭 깎아서 무려 60조 원에 가까운 세수 감소를 만들어냈다. 그 결과가 민생예산 감액이다. 공공주택 예산 수조 원뿐만 아니라 노인빈곤 문제로 노인 자살률이 어마어마한데 그나마 좋은 정책인 어르신 일자리사업도 큰 규모로 줄였다. 나라의 미래를 좌우할 수 있는 R&D예산도 깎았다. 도대체 왜 그런 선택을 하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 당 강령은 기획재정부 개혁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 인사를 두고 '검찰 아니면 기재부'란 평가가 나온다. 심지어 보건복지부 장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교육부 차관보까지 기재부 출신이다.
"무능 행정과 무책임 행정을 부추기는 인사다. 전문성과 경험이 없는 검찰 출신들을 요직에 배치한 게 국정운영의 무능을 상징한다면, 각 부처에 기재부 출신을 배치하는 것은 무책임을 의미한다. 꼭 이 정부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기재부가 너무 비대화, 권력화되면서, 민감하고 중요한 정책을 사실상 좌지우지하고 있다. 그 결과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문제가 발생했다.
가령 부동산 정책은 국토교통부가 주체 같지만 핵심은 세제 정책일 뿐 아니라 최종 의사결정 단위가 기재부다. 하지만 문제가 생기면 맨날 국토부 장관이 나와서 사과하지 않나. 기재부 관료들에 집중된 권한은 책임의 공백을 낳는다. 예산처와 재무부를 분할해 선출된 권력들이 예산처를 통제하고 운영하면서 그 결과를 국민들에게 심판받는 것이 민주공화국의 원리를 제대로 구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은 백악관에 예산편성권이 있지만 최종 의사결정은 의회가 한다."
- 기후정책연구자이자 시민운동가 출신이다. 윤 대통령은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보다 CF100(무탄소 100%, 원자력발전 포함)을 강조하며 "원전이 곧 민생"이라는 말까지 했다. 조국혁신당은 재생에너지와 원전 문제와 관련해 기본 입장이 무엇인가.
"CF100 같은 접근은 무능한 정부의 전형이자 우물 안 개구리 정책이다. RE100은 이미 글로벌 스탠더드다. 윤 대통령이 몇 개의 산유국하고 'RE100 꼭 해야 돼? 원전으로 대체하면 되지!' 이런다고 해서 그 기준을 바꿀 수 없다. 기업들은 다 알고 있다. 눈치보느라 이야기 못하고 대신 해외로 나갈 뿐이다.
기본적으로 탄소중립 실현은 장기적인 과정이고 과제다. 전세계 목표가 2050년이다. 갑자기 모든 게 다 바뀌는 게 아니라 단계적으로 바뀌는데, 특히 화석연료를 전기로 바꿔야 한다. 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전기를 써야 한다. 두 가지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그런데 우리는 원자력 에너지는 충분한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너무 낮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막 올라오기 시작한 재생에너지 생태계를 무너뜨렸다. 위기는 이미 시작됐다."
- '탈원전'은 아니라는 뜻인가.
"감원전이라고 표현하겠다. 지금 있는 원전은 안정적으로 잘 관리해서 써야 한다. 특히 수명이 다한 원전을 어떻게 처리하고 관리할 것인가는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숙제다. 하지만 '원전을 더 많이 짓겠다'는 방향은 실현가능하지도 않고, 기후변화 대응 추세에도 안 맞고, 재생에너지 비중이 계속 늘어나는 전력이용체계와도 충돌한다."
- 저출생과 지방소멸 문제를 두고는 어떤 고민을 하고 있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분야 1순위가 '육아친화사회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다. 아이를 낳기만 하면 국가가 책임진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 그와 연동해 주거, 교육 문제 등 여러 핵심분야에서 집중적인 정책 집행과 성과관리를 해야 한다. 저출생에 지금까지 300조 원을 썼다는데 문제가 더 심각해지지 않았나.
지방소멸과 관련해선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메가시티정책을 부활시켜야 한다.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메가시티를 부울경 외에도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중부권에도 만들어야 한다. 또 예산 자체를 실질화해야 한다."
- 강령에 '성평등'은 안 보인다.
"선관위에 제출한 10대 정책 안에는 있다(담대한 저출생 대책과 성평등·돌봄정책 추진). 강령이든 정책이든 새롭게 정리하고 확정하는 과정 중이라 불가피하게 비어있는 부분도 있다. 저희 숙제다."
"양당체제 틈 만들 것... 힘있는 3당 역할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