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임상 실습 시 활용하는 인체모형. 사진 = Pixabay
Pixabay
부족한 강의실 수도 문제다. A씨는 "대부분 강의실이 한 학년의 전체 정원에 맞춰 설계돼 있다"라며 "80명 정도 수용 가능한 강의실에 몇 배 정도 많은 학생들이 오면 강의 듣기가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각 의과대학 비상시국대응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성명을 연이어 내어 증원에 대비한 강의실 구축이 미비하다고 주장했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이하 아주의대) 비대위는 현재 강의실이 최대 66명까지만 수용이 가능하다며 이를 고려하지 않은 의대 증원은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아주의대의 현재 정원은 40명이고 증원 시 120명까지 늘어난다.
비수도권 의대의 경우 강의실 환경은 더 열악하다.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비대위는 "60명조차 앉을 수 없는 강의실"이라며 급격한 증원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 밝혔다. 제주의대의 현재 정원은 40명이고 증원 시 100명까지 늘어난다.
강의실 증축 외 강의실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반 제도가 거론된다. A씨는 "당장 1년 뒤에 인원이 늘어나면 분반 제도를 도입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연구와 진료를 병행하는 교수들의 부담을 늘린다는 의견이 나온다.
조윤정 고려대 의대 교수는 지난 4일 열린 '한국 의학 교육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에서 "(실습 교육을 담당하는) 임상 교수는 교육뿐 아니라 환자 진료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라며 의대 정원 증원 시 늘어날 강의 수요를 맞추기 힘든 현실을 설명했다.
'의학교육 내실화' 위한 구체적인 방안 필요해
지난 4월 한국의학교육학회는 성명을 내어 필수의료 정상화는 의학교육 내실화가 전제 조건이라고 발표했다. 필수의료는 사람의 생명과 직결된 중요한 의료 서비스로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가 여기 속한다. 하지만 종사하는 의사 수는 부족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지 못하는 환자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꾸준히 발생했다. 의대 증원은 필수의료의 인력 공백 해소를 목표로 하므로 의학 교육 환경과 방법이 증원 규모에 맞게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의학교육학회는 "의학교육 내실화는 교육 지원 계획 수립, 의대생 선발과 진로 교육, 의대 교수개발과 교육에 대한 인정 제도 개선과 투자가 필요하다"라며 정부가 의학교육의 질 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현재 정부의 구체적인 의대 교육 내실화 방안은 아직 논의 중에 있다. 지난 8일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의대 관련 설명 브리핑에서 "의대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예산 지원 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A씨는 "교육 환경 관련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건지 방안도 자세하게 제시해야 한다"며 "이해할 수 있는 증원 규모 내에서 점진적인 정책 이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생존과 직결된 노동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읽고, 생각하고, 쓰는 기본에 충실하고자 합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