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쇼핑 시즌 '광군제'를 앞둔 지난 2022년 11월 7일 오전 인천시 중구 인천본부세관 특송물류센터에 해외 직구 대형TV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SNS로 '초연결'된 사회에서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계층과 상관 없이 상향 평준화됨에 따라 이같은 불황형 소비가 강화된다는 분석도 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세계가 SNS로 연결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쿄나 서울, 호치민, 뉴욕의 라이프스타일이 균질화되고 있다"라며 "특히 MZ세대의 경우 '왜 우리는 저들과 가격이 다른가, 왜 우리는 저 제품을 못 사나'하는 불만이 크다"고 했다. 서 교수는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젊은 세대에게 이미 직구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이번 정부 방침을 보며 담당 고위공무원들 중 과연 알리나 테무에서 쇼핑을 해본 사람이 있긴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고물가에 시달리고 있는 소비자들이 화가 난 건 비슷한 상품의 가격차가 5배 이상이나 나고 있기 때문"이라며 "운반비나 통관비를 고려해 2배 정도까지만 차이가 났더라도 소비자들이 이해했을 것"이라고 했다. 실제 현재 알리와 테무에서 파는 옷이나 신발은 네이버쇼핑 등 국내 유통 채널에 올라온 상품보다 대략 5~10배 싼 수준이다.
이 교수는 "최근에는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주변 관계집단과의 상대적 비교에 민감한 중장년들도 골프 등 레저용품을 직구해 트렌드를 따라잡으려 안간힘을 쓰는 경향이 보인다"라며 "불황이 이어지는 한 당분간 비슷한 흐름이 유지될 것"이라고 봤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국내 해외 직구액은 6조 8000억원으로, 1년 전(5조 3000억원)에 비해 28.3%나 증가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5
공유하기
"알리·테무에선 티셔츠 5천원, 운동화 2만원... 서민들 왜 화났겠나"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