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콩으로 만드는 콩나물. 토종콩나물, 촉진제를 이용해 3일이면 다 자라는 다른 콩나물과는 다르게 5일에서 7일 정도 걸린다.
주간함양
제터먹이협동조합은 출범 초기 연매출 3억 원에서 현재 11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꾸준히 성장해왔다. 중심이 되는 건 토종콩으로 만드는 콩나물과 앉은뱅이밀로 만드는 밀가루 및 국수다. 콩과 밀은 이모작이 가능한 전통 농업으로 토종 농업 모델을 농부들에게 제안하고 두 가지 모두 수매하는 방식이다. 콩을 기준으로 생산자조합원 30여 세대, 수매량 5.4만 kg, 총 재배면적만 7만7천 평이다. 규모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금은 여기 아산뿐만 아니라 공주, 청양, 예산, 천안 등에도 우리 생산자조합원이 있어요."
아산을 넘어서 충남 지역으로 건강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제터먹이협동조합. 제터먹이협동조합이 생산하는 토종콩나물은 한살림과 학교 급식, 로컬매장에도 들어간다. 밀의 경우 부침가루, 밀가루, 튀김가루, 국수 등 가공을 통해 판매한다.
제터먹이협동조합 내에서 토종농부양성 프로그램인 토종농부학교 운영도 올해로 9년 차에 접어들었다. 적을 때는 열다섯 농가, 많을 때는 스무 농가가 참여할 정도로 반응이 좋다.
다양한 토종종자들로 새로운 사업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토종종자가 지속될 수 있어야 한다. 토종농부학교는 토종종자를 이어가는 농부들을 모으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초보 농부들이 농업과 종자주권, 농업노동의 가치를 깨닫는 시간이 되기도 한다. 1년 동안 매주 토요일 9시에 모여 11시까지는 노동을 하고 11시부터 12시까지 이론 수업을 한다.
토종농부학교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수업을 진행한다. 논농사로 바라보는 수중 생태의 순환, 토종소, 재래닭, 강아지에 대한 역사, 한의사가 말하는 건강 강좌, 지역 김장 교육 등 농업 기술뿐만 아니라 지역의 농부가 가져야 하는 생활상을 익히면서 자연스럽게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과정이다.
토종콩으로 만드는 콩나물. 토종콩나물, 촉진제를 이용해 3일이면 다 자라는 다른 콩나물과는 다르게 5일에서 7일 정도 걸린다.
제터먹이협동조합이 바라보는 농업의 미래
장명진 이사장은 "저는 스마트팜이라는 정책을 아주 피 터지게 반대했던 사람"이라며 말을 시작했다.
"스마트팜 정책에는 농부가 없어요. 농기업만 있는 거지. 시설 투자비가 그렇게 많이 드는 농업을 미래라고 하기는 어렵죠. 스마트팜으로 주곡 생산할 수 있어요? 공간도 한정적이고 수지타산도 안 맞아요. 주곡 생산도 할 수 없는데 어떻게 농업의 미래가 될 수 있겠어요."
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있는 건 아니다. 기후위기는 점점 심각해지고 이를 통해 농업이 점점 불리해지는 건 사실이기 때문이다. 장명진 이사장은 "기후위기마저도 작물과 농부가 같이 극복해야 하는 것"이라며 "모든 생물에게 축복인 태양을 중심에 두고 농업이 있어야 한다. 가공된 빛으로 갇혀 있는 공간에서 대량 생산된 채소들이 건강한 먹거리가 될 수 있느냐"고 질문했다.
스마트팜을 통해 생산된 농산물이 건강한 먹거리가 될 수 없다면 스마트팜을 농업의 미래라고 보기 어려우며 이는 같은 작물을 건강하게 재배하는 농민들에게 타격을 입힐 수밖에 없다.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몇 사람이 이익을 보겠지만 대부분의 보편적인 농민은 희생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스마트팜은 사회적으로는 공동체 파괴와 소멸을 가속화하고 개인에게는 큰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는 농민 없는 농업 정책이에요. 결국 농업 정책에는 농민이 있어야 된다는 말이에요. 국가의 식량자급을 책임지는 농민이 없고서 어떻게 국가가 있을 수 있겠어요."
고추 씨앗이 같은 양의 금보다 비싸게 팔리는 상황은 이미 유명하다. 고추 씨앗 한 봉지 30만 원에 구매하고서, 고춧가루 30만 원어치 팔 수 있을까?
농사는 종자값만 들어가는 게 아니다. 비닐멀칭, 퇴비, 인건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출이 필요한데 고추의 경우 병이 들면 밭 전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 해 농사를 망칠 수도 있다.
"비싼 종자값을 들이고 농약을 쳐서 나오는 게 건강한 것도 아닌데 그럴 바에 조금 덜 수확하더라도 건강한 식재료 만들어내는 게 맞다는 판단을 해야 하는데 정부와 농업기관에서 농민을 지도한 결과 지금 토종은 아예 값어치 없는 종자로 사람들 인식이 되어있죠. 토종 심어 뭐 할 거냐는 이야길 들어요.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이 토종을 이어가겠어요? 안 심지. 그래서 적정 가격 보장제도는 꼭 필요한 제도예요."
장명진 이사장이 생각하는 농업의 미래는 토종종자다. 실제로 제터먹이협동조합에서는 토종콩이 개량콩에 비해 수확량이 그렇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농부들에게 입증하는 등 토종을 이어가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지역의 여성 농민에게 토종 잡곡 한 품목씩 농사짓게 하고 잡곡을 제품으로 낼 계획도 하고 있고요. 토종콩 10톤 규모 메주도 준비하고 있어요. 전통주를 만드는 데 필요한 누룩과 쌀도 전부 토종으로 해서 막걸리도 준비하고 있어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공유하기
"농부들이 마지막에 비참해지는 상황 대비하고 싶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