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섭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2일 오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남소연
또한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거대한 예산을 쓰는 환경부의 물 정책은 필연적으로 대규모 공사 친화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환경부 수자원국의 2024년 예산이 1조 8785억 원이고, 소속 직원은 60명이다. 이들 중 행정 지원 인력을 제외하고 나면, 한 명의 직원이 매년 500억 원 이상의 사업을 집행해야 한다. 이들에게는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홍수 대책보다는 막대한 예산을 남김없이 집행할 수 있는 방법(대규모 사업)을 찾는 것이 우선이게 된다.
물 관리 정책, 맞춤형 대책과 유역 중심 정책으로 바꿔야
결국 새로운 물 관리 정책의 방향을 대규모 개발, 중앙 정부 중심에서 맞춤형 대책, 유역 중심의 정책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피해가 있는 곳, 피해를 입는 이들을 지키기 위한 적당한 규모의, 가까이 있는 조직에 의한 보호가 중요하다. 덧붙여서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는 정책, 소위 자연기반해법(Nature Based Solution)을 추가해야 한다. 자연을 극복하려 하기보다 자연의 순환을 보장하고, 사회의 회복 탄력성을 높여 재앙에 강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천의 제방을 더 높이 많이 쌓는 것이 아니라 제방을 뒤로 물리거나 농경지를 한시적으로 침수시키는 타협이 있을 수 있다. 제방을 건설하는 비용보다 보험으로 보상하는 비용이 훨씬 적다는 것은 많은 연구들이 뒷받침하고 있는 바다. 위험한 곳에 개발을 금지하고, 위험한 시기에는 사회를 정지 시키는 것도 지혜일 수 있다. 우리는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성난 자연에 적응하는 방법을 일부 배워뒀다.
또한 모든 수해 피해를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여기면 곤란하다. 수많은 경우에 맞춰 정부와 지자체가 해법을 제공할 수 없다.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개인들의 판단이 중요하고, 공동체의 도움이 절대적이다. 마치 홍수 대책이 정부만의 업무인 것처럼 하는 것은 시민들의 자율적 대응을 방해해 역효과만 가져올 뿐이다.
우리사회의 방재 역량은 정부의 역량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시설과 제도의 힘도 있겠지만, 사회 구성원들의 태도와 사회의 다양한 관계들까지 모두 포함해서 평가된다. 무엇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수해를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한 방향으로 대응하려는 오만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3
시민과 함께 강을 가꾸고, 수달과 함께 강에서 놀다보면 세상이 더 풍요로워지고 시민이 더 행복해지지 않을까 생각하며 일합니다
공유하기
폭우 피해 속출하는데, 윤 정부의 무모함이 두렵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