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토론회가 열린 가운데 지현영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이 ‘현장의 목소리: 중소?중견기업이 원하는 탄소중립 지원 방안’을 주제로 발제에 나섰다.
그리니엄
중소·중견기업 위해선 로드맵·탈탄소 예산 수립 필요
이에 지 부소장은 중소·중견기업의 탈탄소화 지원 정책과 관련해 개선이 필요한 6가지 분야를 꼽았습니다.
① 산업 부문 탄소중립 정책·제도 기반 마련 ② 탈탄소 예산 ③ 정부 지원사업 ④ 배출량 측정 및 공시 ⑤ 온실가스 감축 지원 ⑥ 재생에너지 조달 순입니다.
먼저 지 부소장은 산업 부문 탈탄소화 정책과 관련해 거시적인 로드맵이 없다는 점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EU 등 주요국은 이미 시장이 아닌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입해 녹색산업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 그의 말입니다.
중장기적 예산 로드맵이 없다는 점도 지적됐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은 2050년까지 국내 기후금융 수요를 연간 최대 82조 원으로 추산합니다. 이 중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기후금융 수요가 어느 정도인지 부재합니다.
정부는 기후대응기금을 통해 산업 부문의 탈탄소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따른 유상할당 수입을 재원으로 합니다. 그런데 탄소배출권 가격 하락으로 인해 재원 마련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지 부소장은 "(유상할당 수입을 통해) 기금 규모를 2조 원에서 늘린다고 했다"며 "그런데 배출권 가격 하락으로 인해 사실상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수혜 대상이나 주무부처 역시 불분명하단 점도 문제로 제기됐습니다.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에서 탈탄소화 지원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낮습니다. 2024년 중기부 예산 14조 9479억 원 중 탈탄소화 예산은 5.2%에 그칩니다.
공시·배출량 측정 개선돼야… "탄소데이터 플랫폼 예고"
공시와 배출량 측정 관련 제도가 미비하다는 점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D기업의 관계자는 "정부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정책이 너무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ESG 공시 의무화 시기가 불명확하여 기업 차원에서 대응이 어렵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인력 충원과 예산 계획을 수립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그의 말입니다.
지 부소장은 "(국내외 고객사로부터) 원자재 단위까지 세세한 배출량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영업비밀 노출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한 기업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정부가 배출량 측정에서 있어 적극적으로 탄소회계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단 점을 언급했습니다.
또 '전과정 목록 데이터베이스(LCI DB)'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이에 박근형 산업통상자원부 기후에너지통상과 서기관은 "민관합동 산업 공급망 탄소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일본, 중소기업 직접 찾아가 지원사업 안내… 한국도 참고해야"
중소·중견기업들이 지원사업으로부터 접근성이 떨어져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습니다.
현재 중기부 산하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여러 지원사업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기업마당' 서비스를 운영 중입니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분류방식이 복잡해 하나하나 찾아 들어가야 한다"며 "탄소중립에 관한 분류 카테고리만 있어도 좀 더 수월할 것"이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물론 이 조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단 것이 지 부소장의 말입니다.
그는 일본처럼 '푸시형 지원체계'를 참고할 수 있는 사례로 제시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중소기업 대표들의 고령화 등으로 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이에 금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직원들이 직접 중소기업을 찾아가 탈탄소화나 기후대응 지원사업을 설명하도록 합니다. 일본의 GX(녹색전환) 추진 전략에 따라 추진되고 있습니다.
지 부소장은 "중소기업은 기존 설비나 프로세스가 아니면 (지원사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며 "단순 지원이 아니라 연구나 타당성평가 또는 실증 연구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