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 예보 모델 격자의 크기에 따른 지형 표현
기상청
격자는 그 크기가 작을수록, 즉 같은 공간을 많은 격자로 표현할수록 실제와 유사한 모습이 구현된다. 그렇다면 정확한 날씨 표현을 위해 수치 예보 모델 격자의 크기를 매우 작게 만들어 해상도를 높이면 예측이 정확해지지 않을까. 참고로 현재 세계 각 국가와 기관의 현업용 전 지구 수치 예보 모델 격자 크기는 약 10km x 10km 수준이다.
하지만 인간의 과학에 대한 이해가 완벽하다고 가정하고(사실은 여기에서부터 함정이다) 기상 관측의 해상도가 뒷받침할 수 있다 하더라도 현실 문제가 따른다. 바둑의 예에서 보았듯이 감당해야 할 계산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심지어 각 날씨 격자에 담긴 정보의 양은 바둑의 흑이냐 백이냐의 수준에 비할 바가 아니다.
그렇다면 모든 자원을 쏟아부어 슈퍼 컴퓨터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 올리면 될까. 역시나 무리다. 세상의 자원을 모두 날씨 예측에만 투입할 수는 없지 않은가. 따라서 우리네 삶과 마찬가지로 날씨의 예측 수준 역시 현실과 타협해야 한다.
보지 못하는 대상을 표현하라!
프랑스에서 배관공의 아들로 태어나 매우 가난했던 화가 앙리 루소는 이국의 밀림과 야생을 직접 여행할 기회가 없었다. 그는 박물관과 식물원, 동물원 등에서 얻은 제한적 정보를 통해 직접 볼 수 없는 대상을 직관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현실과 타협해야 했다.
예보관도 대상을 볼 수 없다. 눈에 보이는 날씨를 만들어내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와 수증기이기 때문이다. 수치 예보 모델의 후방 지원에도 한계가 있다. 상술했듯 격자의 크기는 여전히 10km x 10km 수준이기에 그 격자 안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모두 담아낼 수 없고 인간이 유체(流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결국 예보관은 수치 예보 모델로부터 출발한 체계적 밑그림에 더해 그간의 경험과 지혜를 바탕으로 '체제적' 해석(바둑에서 '모양'을 보듯)을 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경험과 지혜가 근거로 작동할 수 있도록 오랜 시간 통계와 검증을 거치고 비판 받아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 역시 현실과 타협해야 한다. 인원도 지식도 모두 예산, 즉 자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우리 사회는 날씨 정보 생산을 위해 어느 수준에서 현실과 타협하고 있을까.
일기예보의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