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환경계획의 ‘지속가능성’ 정의와 개념(2016), 김대경 제공
UNEP
"유엔환경계획에 따르면, 지속가능하려면 환경, 사회, 경제, 거버넌스 측면을 모두 충족해야 해요. 원전은 저탄소 기술인 건 맞지만 '기후변화 적응' 등에는 부적합합니다. 기후변화 적응이란 기후변화에 맞춰 우리가 어떻게 적응하고 대비할지에 대한 정책을 의미해요. 특히 에너지 시스템에서는 분산형 발전이 중요한데 폭염, 폭우, 홍수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원전과 같은 중앙 집중형 발전은 적합하지 않아요.
예를 들어, 2012년 허리케인 샌디가 뉴욕을 강타했을 때 대부분의 빌딩이 정전되었지만, 분산형 발전 설비가 있던 곳은 불이 들어왔죠. 분산형 발전은 여러 소규모 발전소가 곳곳에서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서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요."
그렇다면, 원전의 대안이라고 주장하는 SMR(소형 모듈형 원전)은 어떨까? 그는 SMR이 분산형이긴 하지만 냉각방식에서 한계가 있다고 말한다
.
"현재 상용화에 가까운 SMR은 바닷물로 냉각하는 대형 원전과 마찬가지로, 주변 강이나 호수의 물을 냉각수로 이용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등에 취약해요. 게다가 SMR은 세계적으로 아직 개발 단계이고, 경제성 문제로 상용화도 불투명하죠. 작년에 뉴스케일의 SMR 건설도 중단됐어요."
그는 이어, 기후위기 대응이 시급한데 원전은 건설에만 최소 1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기후변화 대응에 적합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 원전 르네상스로 달려가는 한국의 기후에너지 정책, 국내외 평가는요?
"매년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평가하는 프로젝트(클라이밋 액션 트래커, CAT)가 있습니다. 여기서 한국은 '매우 불충분하다'고 평가받았어요. 특히 한국의 정책과 행동이 '매우 불충분'하고, 세계 경제 규모 10위 내외인 선진국으로써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도 '불충분'하다고 평가했죠.
국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8월 29일, 헌법재판소는 국내 첫 기후헌법소원에서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이 헌법에 어긋난다고 판결했어요. 구체적으로는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제8조 제1항이 탄소중립 목표를 실질적으로 달성할 방법이 부족하다는 이유입니다. 이런 국내외 평가를 보면, 한국의 기후에너지 정책은 대단히 부족하다고 할 수 있죠."
2023년, CAT는 한국의 정책과 행동이 파리 협정의 1.5℃ 목표와 전혀 일치하지 않아서 모든 국가가 한국처럼 행동한다면 지구 평균 기온이 3~4℃ 오른다고 밝혔다. 특히 작년 초 확정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원전을 늘리고, 화석연료는 유지하며, 재생에너지 확대가 지연되면서 1.5도 경로로의 전환을 방해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은 매 5년마다 스스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해 제출하기로 함. 한국의 경우 2030년까지 2018년의 한국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최대 40%를 감축하기로 함
기후위기 대응은 재생에너지로
- 태양과 바람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전환의 경제적 이득은 무엇일까요?
"두 가지 이득이 있습니다. 먼저, 가장 경제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네이처 논문을 보면, 2020년에는 미국과 남미 등 많은 나라에서 풍력이 가장 저렴하고, 한국과 러시아는 원전이 제일 저렴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왜냐면 정부의 통계자료에서 원전이 싸다고 평가했으니까요. 그런데 2027년에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서 태양광이 가장 저렴한 발전원이 됩니다.
또한, 에너지 자립과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2008년 이후 한국의 연평균 총 수입 중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27.3%입니다. 거의 1/4이죠. 2021년 OEDC 평균 에너지 자립도가 0.85인 반면, 한국은 0.18에 불과합니다. 2022년 원유 수입액은 1503억 달러로, 한국이 유가 상승과 같은 외부 충격에 무방비 상태입니다. 그래서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통해서 에너지 자립과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김대경 컨설턴트는 우리의 미래를 위한 기후위기 대응은 원전이 아닌 재생에너지라는 점을 강조했다.
"확신컨데 에너지 전환의 핵심 수단은 재생에너지입니다. 에너지 자립을 이룰 수 있는 유일한 수단도 재생에너지고요. 결론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은 재생에너지로 해야 된다라고 메시지를 던지고 싶습니다."
- 인터뷰 내용은 영상으로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원전↓ 에너지소비↓]
녹색연합 에너지 전환 캠페인 페이지 방문하기(
https://wecangreen.org/energy)
- 지금 필요한 기후에너지 인터뷰 시리즈
1.
전기가 무척 중요한데 정부가 말하지 않고 있습니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중심으로)(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
2.
원전을 지속하는 것은 불평등한 구조를 유지하는 것(조천호 대기과학자)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노동, 환경, 페미니즘 분야를 공부하는 시민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