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여름 극우성향 단체들이 서울 영등포구 KBS 앞에 근조화환을 설치했다.
오마이뉴스
2023년, 지난해 여름 KBS를 둘러싼 여러 장면은 여전히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 대통령실은 방송법 시행령을 개정해 한국전력이 더 이상 TV수신료를 통합징수할 수 없게 했고, 공영방송 KBS와 EBS는 일시에 공적 재원에 치명적 타격을 입게 됐다.
공격은 물밀듯 몰려왔다. 극우성향 단체에서 보낸 수백 개의 조화들은 며칠 만에 KBS를 빙 둘러쌌다. 극우 유튜버들은 KBS 직원들을 물리적으로도 위협했다. 회사 로비에 들어와 라이브 방송을 켜고,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핸드폰을 들이대며 욕설과 고성을 퍼부었다.
사람들은 실의에 빠졌다. 공정한 방송을 만들자고 142일간 파업한 지 불과 5년 만에 KBS는 다시 벼랑 끝에 섰다. 더구나 이번엔 KBS가 정말 문을 닫을 것만 같았다. 그즈음 여러 스트레스가 겹치며 유명을 달리한 직원도 있다. 그는 생전 동료들에게 회사 상황에 대한 불안을 계속 토로했다고 한다. 집단적 공황이 내려앉았던 지난 여름, 우린 좀체 일어나지 못했다.
그 틈을 타 2023년 11월 1TV <더라이브>, 1라디오 <주진우 라이브>와 <최경영의 최강시사>가 폐지됐다. 아직 임명장도 받지 않은 새 편성본부장이 일방적으로 프로그램 편성을 삭제한 것이다. 편성삭제는 일시적이었으나 직후 해당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에게 작별 인사조차 못하고 사라졌으니, 기실 낙하산 사장과 편성본부장 취임 하루 전 폐지된 셈이다. 이제껏 보지 못한 무도함이었다.
올해 3월 이제원 제작1본부장은 세월호 10주기 다큐 불방을 결정했다. 총선 후 방송되는 다큐가 총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방영돼선 안 된다는 어불성설에 시사교양 PD들은 앉은 자리를 털고 일어나 일제히 기명 성명을 냈다. 공포로 얼어붙었던 KBS에 피케팅을 하는 직원들의 외침이 처음 터져 나왔다. 이제원 제작1본부장은 납득할 수 있는 대답을 내놓지 못했고, 공정성 문제 등을 논의하는 사내 기구인 TV위원회와 공정방송위원회를 여는 것도 거부했다. 그가 취임한 연초부터 지금까지 쭉 말이다.
'조화 둘러싸기' 이후 끊임없는 공영방송 죽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