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토부·서울시·경기도,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합동 브리핑에서 개발 관련 설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8·8 주택공급 방안의 후속 조치로 신규 택지 후보지 4곳을 5일 발표했다.
신규 택지 후보지는 ▲ 서울 서초 서리풀지구 221만㎡(2만가구) ▲ 경기도 고양 대곡 역세권 지식융합단지 199만㎡(9400가구) ▲ 경기도 의정부 용현 81만㎡(7천가구) ▲ 경기도 의왕 오전왕곡 187만㎡(1만4천가구)이다.
국토부는 이들 후보지에 대해 "환경적 보전 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과 공장·창고 등이 난립해 난개발됐거나 난개발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계획적·체계적 개발이 필요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서리풀의 경우 국민적 선호도가 높은 강남 생활권에 자리 잡고 있다. 인근 신분당선(청계산입구역), GTX-C(양재역) 등이 위치해 철도 접근성이 뛰어나고 경부고속도로,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분당내곡도시고속도로 등도 있어 지역 간 이동이 편리한 곳이다. 이 지역은 자연경관, 인접 첨단산업 등과 연계해 첨단산업 및 주거 복합 공간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정부는 서리풀지구에 공급되는 2만 세대 중 1만1천호(55%)는 신혼부부용 장기전세주택Ⅱ(미리 내 집)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 지역은 이미 훼손돼 개발제한구역으로 보존할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이라면서 "토지 이용 효율성을 높여서 해제면적을 최소화하였으며 공공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공공주택 중심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양대곡 역세권의 경우 GTX-A(올해 말 개통예정), 3호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교외선(올해 말 개통 예정) 등 5개 노선이 만나는 철도 교통 요충지다.
이 지역은 역 접근성과 환승 편의성 개선이 필요해 복합환승센터 건립과 주변 개발이 시급하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국토부는 대곡역에 복합환승센터를 구축해 교통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역세권 중심으로 자족·업무시설을 중점 배치해 상업·문화·생활시설이 연계된 지식 융합단지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의왕 오전왕곡은 경수대로·과천봉담간 도시고속화도로에 연접한 부지로, 산업기능 유치 잠재력이 높은 곳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 지구는 친수공간이 풍부해 정주환경이 우수하고, 인접한 과천지식정보타운 등과 연계한 의료·바이오 산업유치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지구는 자족기능 확보를 통해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직주근접 생활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다.
의정부 용현은 군부대로 인해 양호한 입지 여건에도 주변 도심과 단절돼 오랫동안 개발이 되지 못한 곳이다.
이곳은 주변에 개발 중인 법조타운과 기존도심을 연계해 통합생활권을 조성하는 한편 문화·체육·자족시설 등을 보완해 주변 도심과 연결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에 발표된 신규택지 후보지에 대해 2026년 상반기 지구 지정, 2029년 첫 분양, 2031년 첫 입주를 목표로 주택공급 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구 지정 전 보상조사 착수, 지구계획 수립 조기화 등 행정절차를 단축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일부 원형지 공급도 추진한다.
공급실적이 처참하기 그지 없는 윤석열 정부
주택공급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택지를 추가로 지정하기 전에 윤석열 정부가 공급을 제대로 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윤 정부가 입만 열면 비판하는 문재인 정부와 윤 정부를 한 번 비교해 보자!
지난달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청주흥덕)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 정부 초기 2년(2022년 6월~2024년 5월)간 전국의 주택 인허가 실적은 86만7000가구, 착공은 58만3000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문재인정부 초기 2년(2017년 6월 ~2019년 5월) 인허가 116만가구, 착공 100만1000가구에 아득히 못 미치는 실적이다. 심지어 경제가 마비된 코로나19 팬데믹 2년 동안에도 인허가는 105만6000가구, 착공은 109만1000가구를 기록했다.
특히 주택시장의 핵이라 할 서울의 경우 윤 정부 인허가·착공 실적은 문 정부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문재인정부 초기 2년간 서울의 주택 인허가 실적은 18만가구, 착공 실적은 16만3000가구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2년간 서울의 주택 인허가 실적은 13만8000가구, 착공 실적은 13만5000가구였다. 그러나 윤 정부 2년간 서울의 주택 인허가 실적은 7만3000가구, 착공 실적은 7만6000가구에 불과했다.
민간 뿐 아니라 공공주택 공급도 부진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2022년 인허가 계획가구 수는 5만3758가구였으나 실제 2만2622가구로 계획 대비 42.1%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인허가 실적은 계획보다 1만3200여가구 늘었지만 올해는 계획가구(6만7962가구) 대비 8월말 현재 94가구(0.14%)에 그치고 있다.
공공주택 착공 실적은 참혹하기 그지 없다. 2022년 계획호수는 4만1750가구이지만 실적은 1만8431가구(44.1%)에 그쳤고, 지난해 착공실적은 1만944가구로 계획가구(2만1509가구) 대비 50.9%에 불과했다. 특히 올해는 8월말 기준 착공 가구는 236가구로 계획가구수 5만120가구 대비 0.47%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쯤되면 윤 정부가 주택가격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일부러 주택공급을 회피한 건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들 지경이다. 윤 정부가 공급절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한다는 생각이 터무니 없게 느껴지지 않는다.
사업진척이 더디기 이를 데 없는 3기 신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