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산더미처럼 쌓이는 빨래 줄이려 스포츠타월로 바꿨더니... 지구를 지키는 일이었네요

등록 2024.06.25 14:35수정 2024.06.25 14:35
1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평소 나의 아침 일과는 물을 한 잔 마시고, 욕실 앞에 놓아둔 빨래 바구니 안에 가득 쌓인 빨래를 꺼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빨래 바구니는 제법 큰 편인데도 5인 가족이 날마다 내놓는 옷가지와 수건을 담아내기엔 부족한 날이 많다.


나는 세탁물을 밝은 색깔의 옷과 속옷, 어두운 색깔의 옷과 양말, 수건, 이렇게 세 가지로 분류해 하루에 한 번 세탁기를 돌린다. 집안 청소는 하루 거를 수 있어도 빨래는 절대 거를 수 없다.

우리 집 빨래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건 수건이다. 하루에 5~6장의 수건이 빨래 바구니에 넣어지고 3일이면 거의 20장이다. 요즘처럼 날씨가 더워지면 아침, 저녁으로 두 번 샤워를 하기도 해서 수건의 양은 더 늘어난다.
 
a

커다란 빨래 바구니 안은 5인 가족이 벗어놓은 옷가지와 수건으로 넘쳐나기 때문에 하루라도 빨래를 거르면 큰일난다. ⓒ 윤용정

 
얼마 전에 산더미처럼 쌓인 빨래를 보고 남편이 한 가지 제안을 했다.

"우리, 수건 쓰지 말고 스포츠타월 써볼까?"
"스포츠타월? 그건 수영장에서나 쓰는 거잖아."
"수건을 매번 세탁한다는 게 너무 낭비인 거 같지 않아?"


남편의 말을 듣고 생각해 보니, 샤워를 마친 깨끗한 몸을 닦는 수건을 세탁하는 건 더러워서라기보다 냄새가 나기 때문인 것 같다. 수건은 물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세탁 시 다른 빨래들보다 많은 양의 물이 들어가고, 또 그 많은 물을 흡수한 수건을 건조하기 위해 너무 많은 양의 전기를 쓴다.

우리 집은 빨래를 널 공간이 마땅치 않아 건조기를 사용하는데, 수건을 건조할 때 보면 일반 옷들보다 건조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린다. 이건 분명 낭비라는 생각이 들었다.


"난 좋아. 빨래도 더 줄고 환경 보호도 되고, 아주 좋은 생각인 것 같아."

스포츠타월을 집에서 쓴다는 게 생소하긴 했지만, 여러모로 장점이 많을 것 같아 남편의 제안에 찬성을 했다.


우리는 그 즉시 스포츠타월을 주문했다. 주문하면서 보니 최근 일부 스포츠타월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는 기사가 있었다. 우리가 고른 제품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는 않았는지 꼼꼼히 확인해 보고, 가족 수에 맞춰 5장을 주문했다.

면수건과는 다르지만... 스포츠타월 써보니
 
a

우리 가족이 쓰는 스포츠타월. 굳이 세탁할 필요 없이 쓰고 말려뒀다가 다시 적신 후 짜서 쓴다. ⓒ 윤용정

 
스포츠타월을 써 본 결과, 나는 대만족이다. 면수건을 썼을 때처럼 보송보송하게 닦이지는 않지만 물기를 제거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샤워를 마치고 스포츠타월을 한 번 헹궈 꾹 짠 다음 몸에 살짝 붙였다 떼는 식으로 물기를 닦아준다. 

스포츠타월은 말리면 마치 다시마처럼 딱딱해지는데, 마르는 과정에서 구부러지고 달라붙은 걸 억지로 떼내려 하면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 그대로 물에 적셔서 쓰면 된다.

"스포츠타월 써 보니까 어때?"

일주일쯤 면수건 대신 스포츠타월을 쓰고 나서 남편이 내게 물었다.

"빨래가 확실히 줄었어. 정말 좋아. 물기 짜느라 손목이 좀 아프긴 한데 환경보호 운동에 손목 하나 바친다고 생각하지 뭐."
"그래, 우리가 지구를 구하자."


덕분에 일주일에 이틀 정도는 빨래를 하지 않아도 되는 날이 생겼고, 그만큼 물과 세제, 전기 사용량을 줄이게 됐으니 우리 가족이 환경보호에 기여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믿어도 되지 않을까?

그렇게 2주 넘게 스포츠타월을 쓰고 있던 어느 날, 초등학교 4학년 딸아이가 공원에서 친구들과 놀고 들어와서는 투덜거렸다.

"엄마, 공원에 사랑벌레 엄청 많아. 계속 달라붙어서 너무 싫어. 사랑벌레가 왜 이렇게 많은 줄 알아? 지구 온난화 때문이래."

사랑벌레(붉은등우단털파리, 러브버그)는 2022년 6월경 내가 사는 동네인 서울 은평구에 나타나기 시작한 벌레이다. 원래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곤충이었으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서식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은평구에만 집중됐었으나 올해는 수도권을 비롯해 충청지역에서도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처음 사랑벌레를 의식하기 시작한 건, 주차장에 세워둔 하얀색 차에 다닥다닥 붙어있던 벌레떼를 보고 놀라면서부터다. 벌레들은 창문 틈을 타고 집안까지 들어왔다. 사랑벌레는 질병을 옮기지 않고 생태계에 도움을 주는 익충이라고는 들었지만, 몸에 달라붙고 집안까지 들어오면 혐오감과 함께 스트레스까지 주니 달갑지가 않다.
 
a

붉은등우단털파리. 24시간 짝짓기를 한다고 해서 사랑벌레 혹은 러브버그라고 불리운다. 익충이지만 집안으로 들어오거나 몸에 달라붙으면 혐오감이 느껴진다. ⓒ 윤용정

 
"지구 온난화 정말 싫다. 우리가 스포츠타월 쓰는 게 지구 온난화가 되지 않게 하는 일 중 하나라는 거 알지? 우리가 지구를 구하는 거야!"

이렇게 말하며 딸에게 '엄지 척'을 해주고, 스포츠타월 한 장을 들려 욕실로 보냈다. 빨래를 줄여보려고 시작한 스포츠타월 사용은 어느새 우리 가족이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자부심으로 변해 있었다.

요즘 6월이라고 하기엔 너무 더운 날씨를 느끼며, 지구가 더워지다 못해 끓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불안한 마음이 든다. 뭐라도 하지 않으면 정말 큰일이 날 것 같다.

스포츠타월을 쓰면서 전기 사용을 줄이는 것 외에도 일회용품을 쓰지 않고 분리수거를 잘 하는 등 내가 할 수 있는 일들을 꾸준히 실천해야겠다.
#지구온난화 #사랑벌레 #스포츠타월 #기후변화 #빨래줄이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2. 2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3. 3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4. 4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5. 5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