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의 현실적 실업률
새사연
대학들이 내놓는 취업자 통계, 믿을 수 있나?그나마 위의 계산은 구직 단념자를 제외한 것이다. 통계청에 의하면 구직 단념자란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의사와 능력은 있으나, 노동시장적 사유로 일거리를 구하지 않은 자 중 지난 1년 내 구직경험이 있었던 사람"을 말한다.
즉, 이들은 본인이 원해서 일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 아니라 강제적으로 취업기회를 박탈당한 사람들이다. 2006년 현재 구직 단념자는 모두 12만2000명에 달한다. 구직활동 경험이 1년을 넘은 완전 취업 포기자는 통계 자체가 아예 없다.
물론 이런 유형의 실업군은 OECD 국가에서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만을 특수하게 취급할 수 없다는 문제제기가 가능하다. 그러나 구직활동을 통해 실업수당과 다양한 교육혜택 등을 누릴 수 있는 다른 선진국과 달리 한국의 청년실업은 주로 그 책임이 개인과 가족의 몫으로 돌려지고, 취업 실패자라는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통계에 노출되는 것을 꺼리는 현실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청년실업의 늪을 탈출한 취업자는 정말 제대로 된 취업자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취업자로 분류된 통계도 신뢰할 만한 것이 못된다.
교육인적자원부의 2006년 대학교 취업통계조사 결과발표를 앞두고 <매일경제>가 취업률이 100%에 육박한다고 밝힌 5개 대학(4년제 3곳, 전문대 2곳) 졸업생 100명을 조사한 결과, 실제 취업률은 64%에 불과했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 9월 발표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분석 결과에서는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평균 취업률이 74.1%라고 되어 있으나, 당시 100%의 취업률을 기록했다고 선전한 한 대학의 실제 취업률은 조사결과 7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거짓 통계는 대학과 대학, 대학 내 각 학과 간의 관계가 무한경쟁구도에 놓이면서 등장한 신풍속도다. 대학의 가치가 학문적 완성도가 아니라 취업률로 평가되면서 단순 아르바이트 까지도 취업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경쟁을 위해 정보를 왜곡하는 현실은 결국 정부 공식통계의 왜곡으로 이어진다.
전공 공부 해봤자 취업엔 도움 안 된다?높은 록금과 취업의 문턱을 넘어섰다고 해서 젊은 시절 꿈꾸는 희망찬 사회생활이 시작되는 것도 아니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한국노동패널조사 7차년도(2004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원을 포함한 고등교육 졸업자들 중 조사 당시 취업자를 대상으로 업무내용과 전공간의 불일치 실태를 살펴본 결과, 외환위기 이후 고학력화 추세와 경기 침체 등으로 본인의 학력보다 낮거나 전공과 무관한 일자리에 취업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