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선덕여왕> 속 유신.
MBC
그런데 무왕에 뒤이어 의자왕(재위 641~660년)이 등극하면서부터 분위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삼천궁녀' 이야기 덕분에 '한국 최고의 난봉꾼'이 된 의자왕은, <삼국사기> 권28 '의자왕 본기'에 따르면, 즉위 이듬해인 의자왕 2년(642) 음력 7월에 직접 군대를 이끌고 신라를 공격하여 40여 성을 함락하는 기념비적인 대승을 거두었다. 신라 입장에서 보면, 의자왕의 등장은 '핵주먹 마이크 타이슨'의 등장과도 같은 사건이었다.
624년의 예외만 제외하고 보통 한두 개의 성을 획득하는 데에 그쳤던 백제가 새로 즉위한 의자왕을 앞세워 신라 선덕여왕으로부터 무려 40여 성을 한꺼번에 빼앗았으니, 백제인들의 입장에서는 이 사건이 얼마나 값진 것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음력 7월에 이런 일이 있었으니, 곧 수확을 기대하던 신라인들의 입장에서는 이 사건이 얼마나 허탈한 일이었는지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일이 있고 나서 불과 한 달 만에 신라는 또 한 번 쇼크에 휩싸이고 말았다. 40여 성을 빼앗긴 슬픔에 잠길 겨를도 없이, 요충지 대야성을 백제에게 또 빼앗기고 만 것이다. 무왕이 재위 42년 동안에 신라로부터 빼앗지 못한 것을 의자왕은 재위 2년 만에, 그것도 한 달 사이에 빼앗아버린 것이다.
의자왕의 즉위와 함께 백제-신라 관계의 시소가 백제 쪽으로 급격히 기울어졌고 그런 속에서 대야성 전투가 발발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이 전투가 '백제의 새로운 활력'을 반영하는 사건이었다는 위의 언급이 결코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성동격서를 연상시키는 대야성 전투둘째, 대야성 전투는 백제 의자왕의 전략전술을 보여준 사건이었다. 어떻게 그렇게 말할 수 있을까?
<선덕여왕> 제55부에 등장한 신라의 대신들은 '대야성은 난공불락'이라는 맹신 속에 "백제가 대야성을 칠 것"이라는 김유신의 경고를 묵살했다. 드라마의 이야기대로라면, 신라가 백제의 침공을 예견하지 못한 이유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대야성의 방어능력에 대한 맹신이고, 또 하나는 김유신 견제를 둘러싼 신라 내부의 갈등이다.
하지만, <삼국사기>에 묘사된 당시의 정황을 살펴보면, 신라가 미처 대비를 하지 못한 데에는 전혀 다른 요인이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 다른 요인이란 의자왕의 전략전술을 말하는 것이다.
음력 7월에 백제에게 40여 성을 빼앗긴 신라는 한 달 뒤인 음력 8월에 중대 첩보를 입수했다. 백제가 고구려와 합세하여 당항성(경기도 화성)을 침공할 것이라는 첩보였다. 당나라로 가는 바닷길의 관문인 당항성을 잃을 경우에 신라는 고립무원의 상태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그 첩보는 신라 조정에 일대 충격을 주는 것이었다. 한 달 전에 잃은 40여 성을 모두 합한 것보다도 당항성 하나의 가치가 더 컸는지도 모를 일이다.
상황이 이러했으므로 신라 조정의 관심은 온통 당항성에 집중되지 않을 수 없었다. 선덕여왕이 당태종(재위 626~649년)에게 급히 사신을 파견한 사실은 그 같은 신라 조정의 긴박한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백제와 고구려가 합세한다는 첩보를 입수했으니 신라가 그처럼 당황해하는 것도 이해할 만한 일이었다.
이처럼 신라의 관심이 한반도 중부의 당항성에 집중되고 있을 때에, 뜻밖에도 백제군은 단독으로 전광석화처럼 한반도 남부의 대야성을 전격 함락했다. 당항성 방어에 정신을 쏟던 신라로서는 불의의 일격을 당한 셈이었다.
당시 고구려가 군대를 동원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동원하려 한 흔적도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신라 조정이 입수한 첩보는 백제가 의도적으로 흘린 거짓 첩보였다고 보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이런 점을 보면, 대야성 전투는 성동격서(聲東擊西)를 연상시키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당항성을 치는 척 하면서 대야성을 쳤으니 말이다.
백제-신라 항쟁 새로운 국면 반영하는 사건이는 첩보전과 실전을 지휘한 총사령관 의자왕의 전략전술을 보여주는 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삼국과 당나라가 총출동하는 '세계대전'이 당항성에서 발발할지 모른다는 공포심을 선덕여왕의 머릿속에 주입시킨 다음에 엉뚱하게도 대야성에서 전격적인 '국지전'을 벌여 소기의 목적을 성취한 것이다.
평상시 같았으면 신라 조정도 그만한 속임수를 눈치 챌 수 있었겠지만, 불과 1개월 전에 40여 성을 빼앗겨 한창 혼란스러울 때라 그런 의도를 간파할 만한 정신적·시간적 여유가 없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서기 642년 대야성 전투는 의자왕 즉위 이후의 '백제의 새로운 활력' 속에서 벌어진 사건인 동시에, 백제 총사령관 의자왕의 전략전술을 과시한 사건이었다. <선덕여왕> 제55부에서는 이 전투와 의자왕의 관계를 다루지 않았지만, 위와 같이 실제의 대야성 전투는 의자왕의 출현과 함께 변화된 백제-신라 항쟁의 새로운 국면을 반영하는 사건이었다.
백제 의자왕 때보다 인구가 훨씬 더 많았던 조선 영조(재위 1724~1776년) 때에도 궁녀의 숫자는 700명을 넘지 않았다고 한다. 성호 이익(1681~1763년)의 추산을 근거로 할 때에 그러하다. 그런데도 백제 의자왕이 3000명의 궁녀를 데리고 놀다가 나라를 잃었다고 하니, 그런 이야기를 믿어야 할지 어떨지 참으로 알 수 없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적어도 즉위 초의 의자왕은 삼국의 항쟁구도에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온 인물이었다는 점이다. 그 같은 의자왕의 역량과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 중 하나가 바로 대야성 전투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kimjongsung.com.시사와역사 출판사(sisahistory.com)대표,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친일파의 재산,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 등등.
공유하기
대야성 함락의 숨은 실세는 '삼천궁녀' 의자왕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