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과 달리 애써 노력해야 보이는 '민주화'

[남영동의 봄 ⑨] 민주인권기념관 건립 자체가 민주주의의 시험대

등록 2019.07.06 18:14수정 2019.07.06 18:14
4
원고료로 응원
고문의 상징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인권기념관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이름만 바뀌었을 뿐 아직 공간은 그대로입니다. 현재 민주인권기념관 조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용역 공모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이에 맞춰 남영동 대공분실의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 보는 글을 보냅니다.[편집자말]
 
 1987년 6월, 독재타도를 외치며 명동성당에서 농성 중인 6월 항쟁 시위군중들
1987년 6월, 독재타도를 외치며 명동성당에서 농성 중인 6월 항쟁 시위군중들박용수
 
한국은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나라라고들 한다. 그런데 사실 이 두 개는 같은 차원의 것이 아니다. 경제성장은 본능과 감각이지만, 민주화의 기억은 이성과 숙고가 필요한 영역이다.

성장의 성과는 눈만 뜨거나 길거리만 걸어도 그냥 확인할 수 있다. 건물과 도로와 교량과 집의 인테리어가 성장을 보여주는 전시물이다. 도시 그 자체가 성장을 보여주는 거대한 스펙터클이자 전시장 그 자체다.

그러나 민주화는 정치권 관련 뉴스나 시민들의 행동을 보고 성찰하거나, 관공서나 법원에 가서 일을 처리해 보고 판단해야 할 사안이다.

정교함이 필요한 민주화의 기억법

도시는 성장을 보여주는 상설 전시관이지만, 민주화의 기억과 현실은 전시되어 있지 않고 정치가들의 행동을 자세히 관찰하고 판단해야 알 수 있다. 성장은 특별히 가르치지 않아도 그냥 알 수 있는 것이지만, 민주화의 역사나 기억은 누가 설명을 하거나 책을 보아야 알 수 있는 것이다. 성장과 달리 민주화는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투쟁이었으며, 누구는 생명의 위험까지 무릅써야 하는 것이었고 일생일대의 결단을 해야 하는 일이었다.

그래서 경제성장과 민주화는 결코 동급이 아니고 동급이 될 수도 없다. 그래서 경제성장의 성과를 강조하고 과시하는 사람들과 달리 민주화를 강조하고 그 의미를 살리려는 사람들은 매우 의도적으로 논리를 만들어서 그것이 오늘 무슨 의미를 갖고 있는지 설명을 해야 한다. 그러한 설명조차도 알려는 노력보다는 감각으로 세상을 판단하려는 세대들에게는 다가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성장을 선전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방법이 필요 없지만, 민주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성과 감정 모두에 호소하는 정교한 방법이 필요하다.


성장의 전시장 그 자체인 이 거대한 도시에서 민주화를 기억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일도 쉽지 않다. 그 공간을 확보하고 전시할 것들을 찾아내는 일도 돈과 시간이 필요하며, 그냥 굴러가는 일상에 적극적으로 시비를 걸거나 투쟁을 해야 하는 일이다. 그나마 2016-2017 거대한 촛불 시위가 있었기 때문에 남영동 민주인권기념관 정도의 공간이라도 확보할 수 있었다.

과거 사회주의 국가처럼 온 도시에 혁명의 구조물과 혁명가의 흉상을 전시하는 방식이 민주화를 보여줄 수 있는 대안일까? 민주화를 기억하자고 그렇게 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강압이자 일종의 문화적 폭력일 것이다. 후세대는 매일 구조물과 흉상을 보면서 학습을 하겠지만, 그것이 무슨 효과를 가질까? 민주화 투쟁이 부각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기념관이 도로와 건물들의 공간을 모두 차지한다면 그것은 이미 민주화 기념관이 아닐 것이다.


정치가들의 행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교육되어야 하고, 법관, 검찰, 경찰 그리고 공무원들의 행동, 시민의 참여를 통해 조용히 실천되어야 할 민주화의 역사가 교과서의 내용이 되어 암송을 요구한다면 그것은 이미 민주화 교육이 아닐 것이다. 행동과 발언은 전혀 민주적이지 않은 사람들이 민주화의 기억과 기념을 말한다면, 그것 자체가 자라나는 세대들에게는 비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그래서 이 사업은 결코 행정 측의 기획, 관의 효율적 관리, 예산부처의 선심성 배려로 성공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리고 민주화 관련 집단이나 가족들이 자신과 관련된 운동이나 개인의 행적을 과도하게 부각함으로써 혜택을 얻고자 해서도 안 될 것이다. 민주화운동의 기억과 기록 그 자체는 공적인 것이다. 그것은 오늘을 사는 시민들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이 법과 제도에 남아 있는 폭력의 흔적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개인의 기록 모은 '기억의 저장고' 만들어야  
 
 학살된 유럽 유대인을 위한 추모비 정보관. 개인의 기록을 모아 전시해 두었다.
학살된 유럽 유대인을 위한 추모비 정보관. 개인의 기록을 모아 전시해 두었다.김동춘
 
그래서 민주화의 기억 살리기와 전시에는 품위가 필요하다. 민주인권기념관은 감각의 도시 그 자체와 맞서려 해서도 안 되고, 성장 기념관과 유사한 방법으로 건축되거나 과시되고 군림하려는 것이어서도 안 된다. 더 많은 공간, 작지만 여러 곳에 흩어진 공간, 시민들이 가까이서 접근할 수 있는 공간, 마을에서도 찾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남영동에 건립될 민주인권기념관은 정부의 모든 민주화 관련 '민원'을 집결시킬 유일한 공간이 아니라, 장차 전국 곳곳에 조용하고 아담하게 건립될 수많은 민주인권기념관의 중심이자 허브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곳에는 국가폭력의 사실과 더불어 '저항의 기록'도 전시되어야 할 것인데, 저항의 기록은 영웅담이 아니라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그래서 민주인권기념관은 교육 현장이지만 그것은 국정교과서는 아니다. 그것은 앎의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교육의 공간이자, 성찰의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민주인권기념관은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사람들의 삶의 모습, 그들의 말과 행동이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전승될 수 있는 기억의 저장고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만약 민주화운동에 투신한 사람들이 이제 더 이상 살아 있지 않다면, 그들의 말과 행동을 보여주는 작은 사진들, 음성들, 행적들 그리고 그들의 삶과 행동이 어떤 방식으로 오늘 우리의 삶을 변화시켰는지 친절하게 설명해 주거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사진 동영상이나 발언들이 전시되어야 할 것이다.

엄혹한 독재와 맞선 민주화운동 대부분의 기록은 정부나 공안당국이 갖고 있었고, 그것은 대부분 폐기되었다. 국가는 자신이 저지른 범죄의 기록도 여전히 은폐하고 있거나 폐기했지만, 운동가들의 개인 물품도 압수해서 폐기했고, 취조와 발언의 내용도 거의 폐기했기 때문에 민주화 운동의 기록은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특히 한국에서 권력에 저항했던 사람들은 자기 개인의 기록조차 거의 가질 수 없었다. 세월은 개인의 몸에 희미하게 남아 있는 고문의 흔적도 모두 지워 버렸기 때문에, 오직 그들의 머릿속에 남아 있는 개인적 기억이 유일한 기록인 경우도 많다. 그래서 자료 수집은 국민적 캠페인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고, 전시할 내용과 관련된 모든 일도 관련자나 시민의 토론을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결국 민주인권기념관의 건립은 민주화 세력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을 어떻게 전시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일 자체가 우리의 민주주의를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라 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김동춘 기자는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소장입니다.
#민주인권기념관 #남영동
댓글4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4. 4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5. 5 "10만4천원 결제 충분히 인식"... 김혜경 1심 '유죄' 벌금 150만원 "10만4천원 결제 충분히 인식"... 김혜경 1심 '유죄' 벌금 150만원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