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포토] 이태원 인명사고, 줄지어 서 있는 구급용 이동 침대·휠체어서울 이태원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지난 10월 30일 오전 2시 50분께 이태원 해밀턴 호텔 앞으로 소방·경찰 관계자들이 줄 지어 서 있다. 사상자 이동을 위한 침대·휠체어 등도 연이어 배치돼 있다.
권우성
지난 10월 29일 밤 서울의 한복판 용산구 이태원에서 무려 시민 158명이 희생되고 196명이 부상을 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11월14일 기준). 사건 발생 수일이 지난 지금 정치권에서는 연일 책임 공방만 뜨겁다. 십수 년을 안전보건활동가로 살아온 필자로서, 이번 참사를 계기로 제2의 이태원 참사를 막기 위한 몇가지 지적들을 하고 싶다.
흔히들 전문가들은 한국 사회의 안전은 세월호 참사 이후와 그 이전으로 나눌 수 있다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또다시 발생한 이번 이태원 참사는 대한민국 수도에서, 그것도 하룻밤 사이에 발생한 대형 참사라서 도저히 믿기지가 않는 분위기다. 외국 언론들도 집회나 시위때 일사분란한 통제를 잘 해왔던 한국 정부에서 문제점들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안전보건활동가로 살아온 경험상 재발방지를 위한 시스템적 접근을 해 보고 싶다.
한국 수도에서 일어난 대형 압사참사... 다시는 없으려면
첫째, 시민 밀집지역 분산대책이 필요하다. 상가 골목 등 특정지역에 인파가 너무 과중하게 몰리면 설치된 CCTV를 통해 지역 행정관청에 자동 통보가 되고 자동 확성기에서 경고방송이 계속해 나가게 해 시민들이 스스로 위험성을 인지하고 그 지역에서 분산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수백 명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에서도, 앞서 편법증축을 통한 과도한 승객 및 화물적재가 편심을 일으켜 침몰원인 중 하나로 지적됐듯 이번 이태원 참사도 과도한 밀집도가 대형 참사를 발생시켰다. 지금부터라도 정부와 지자체는 전국 곳곳 '위험지도'를 만들어 대책을 세워야 한다.
둘째, 시민들의 원활한 이동 동선을 확보해주는 것이다. 산업안전심리학에서는 사고 중 많은 부분이 사람의 생각과 행동에 의해 발생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동기(Motive), 기질(Temper), 감정(Emotion), 습성(Habits), 습관(Custom) 등을 안전심리의 5대 요소로 꼽고 있다. 가령 사람의 심리는 이동 중에도 최단거리로 이동하려는 심리가 있다. 그리고 또 대중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자신도 모르게 따라 움직이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사람이 몰리는 곳에 더 몰리는 현상을 보인다.
일례로 건설현장에서 추락 사고들을 목격하곤 한다. 각기 다른 업무를 통해, 수백 명이 중첩돼 일을 하다 보면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들이 곳곳에 도사리게 된다. 그래서 안전팀에서는 안전로프를 미리 설치해 작업자들의 안전한 보행통로를 확보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더라도, 간혹 높은 곳에서 최단거리로 이동하려고 하다가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밀집지역은 반드시 '일방통행'을 만들어 원활한 보행로가 될 수 있도록 통제가 필요하다. 건물주와 상인들의 협조하에 화장실도 많이 개방해 시민들의 보행로를 막지 않도록 하고, 대중이 밀집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엔 '지하철 무정차 통과'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