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며 평단의 호평을 끌어낸 김희정 작가가 마침내 한국 미술관의 문을 두드렸다. 1963년에 서울에서 태어난 작가는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과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에서 학업을 마친 후 뉴욕, 보스턴 등지에서 수차례에 걸쳐 개인전을 열었다.
김희정 작가가 한국에서 개최하는 첫 개인전 <보이지 않으나 존재하는(Transmuted Existence)>은 경기도 광주에 있는 영은미술관에서 8월 4일까지 관람할 수 있다.
나는 작가가 선보이는 아티스트 북(artist book) 장르에 매료돼, 작품 설치일(6월 19일)과 전시회 오프닝 행사일(6월 29일)에 영은미술관을 방문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작가의 철학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 장시간에 걸쳐 진행한 인터뷰 기사를 2회로 나누어 게재하고자 한다.
play
▲ 김희정 작가와의 인터뷰 영은미술관에서 <보이지 않으나 존재하는> 전시회 오프닝 행사가 열린 지난 토요일, 김희정 작가와 심층 인터뷰를 가졌다. ⓒ 박숙현
생명력을 상징하는 눈
- 작가님의 2006년 작품 <Eyes>를 시작으로 2009년 작품 <Come and Go>, 2010년 작품 <Growing Desire>, 2013년 작품 <Pebbles>, 2011년 작품 <Life As A Fragile Journey> 등 다양한 작품에 (사람처럼) 눈이 붙어 있습니다. 눈이 작품의 전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걸 보니 눈이라는 형상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눈은 작가님께 어떤 의미가 있나요?
"뉴저지 버켄 카운티에 있는 주택가로 이사를 했을 때예요. 아파트에 줄곧 살다가 마당 있는 주택에서 살게 됐는데 뒷마당에 다양한 식물이 있었어요. 큰 나무도 있었고요. 주택 생활을 하면서 마당을 관리하다 보니 조금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벌레가 아니라 식물의 생명력이 무서웠어요. 햇빛이나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더 얻겠다고 아우성을 치며 뻗어나가는 모습이 무서울 정도였죠.
그런데, 사람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나무를 자르고 식물도 뽑아버려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만약 식물에도 눈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했어요. 제 작품에 귀나 코 같은 다른 신체 기관을 붙일 수도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눈에는 굉장한 상징성이 있어요. 생명력을 부여하고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함부로 손대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눈입니다. 식물에도 눈이 있다면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자르거나 뽑지 않을 겁니다."
- 그렇게 말씀하시니 고기를 먹을 때와는 달리, 어떤 죄책감도 없이 당연하게 식물을 먹으면서 살았던 날들이 조금 부끄럽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아예 먹지 않을 수는 없잖아요. 굉장한 딜레마처럼 느껴지는데, 어떤 태도로 접근해야 할까요?
"저도 다 먹습니다. 고기도 먹고, 식물도 먹고, 과일도 먹죠. 다만 모든 존재가 생명력을 갖고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하죠. 우리가 맛있게 먹는 과일도 칼로 껍질이 벗겨지고 과육이 도려내지는 순간 아픔을 느낄 겁니다. 그러니, 우리의 식량이 되어주는 모든 생물에게 고마워하는 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그렇지 않아도, 작가님의 작품을 보면서 불교적인 색채를 느꼈습니다. 식물의 생명력에 관해 이야기하시는 걸 듣다 보니 작가님의 철학에 대한 궁금증이 커집니다. 작가님의 철학이 잘 반영된 작품 하나만 소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