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림마을국사암 가는 길
김재근
월출산(月出山)은 여인을 닮았다. 봄날 유채꽃 위 월출산은 노란 스커트에 연녹색 탱크톱을 입은 발랄한 아가씨였다. 여름날 장마와 장마 사이 구름 아래 월출산은 옷깃 여민 다소곳한 중년 여인 같았다.
향찰식 표기로 '월(月)'은 '달'이 아닌 '돌'이라고 한다. 본래는 '돌이 솟아나는 산'이 었다. 남쪽으로 구림리 모정마을이 있다. 마을 앞 저수지에 달밤에 비치는 모습이 아주 예뻤다고 한다. 이 고장 출신 하춘화의 '영암 아리랑'도 한몫했을 터이고. '달이 뜨는 산'이 되었다.
비가 오는 것도 오지 않는 것도 아닌 장마가 2주 넘게 계속되었다. 마른장마라고 부르기도 모호한 그런 날이. 비가 잠시 주춤한 7월 13일, 영암으로 갔다. 불어오는 바람에 구름이 흘러가고 지나가는 바람에 풀잎이 기우는, 나들이 하기에 더없이 좋은 날이었다.
영암을 기(氣)의 고장이라고 했다. 월출산이 지상의 기를 모아 하늘로 솟구치는 형국이기 때문이라며. 이천이백여 년 전, 그 기를 받아 들어선 마을이 있다. 구림이다. 왕인이, 도선이, 최지몽이 태어난 곳이다. 예전에는 천호 이상 되는 큰 마을이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눈에 띄는 건 큼직큼직 널찍널찍했다. 전통 한옥 마을이라는 정취는 느낄 수 없었다.
신라 말엽, 어느 겨울. 이 마을에 사는 최씨 집안의 처녀가 시냇가에 나갔다가 떠내려오는 커다란 오이를 먹었다. 이후 배가 점점 불러오더니 이듬해 가을 아들을 낳았다. 부모는 갓난아이를 바위 아래에 내다 버렸다.
며칠이 지났다. 아이 울음소리가 들려 가보니 비둘기 떼가 날개로 아이를 덮어 보살피고 있었다. 그 아이가 풍수도참의 시조인 도선국사(道詵國師, 827~898)다. 아이가 버려졌던 바위는 '국사암(國師巖)', 마을은 비둘기 떼가 많다 하여 '구림(鳩林)'이라 불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