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뉴스 남소연
- 한나라당의 사학법 재개정에 대해 어떻게 보나.
"사학법 자체가 없어져야 한다. 사학을 규제하는 법 자체가 없어야 한다. 사학비리는 특정경제가중처벌법처럼 교육비리특별법으로 처리하면 된다. 사회에서 용인할 수 없는 수준의 비리나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재단 이사 전체를 해임하고 전원 관선이사나, 개방형 이사로 채워도 좋다고 본다. 더 극단적으로는 아예 학교를 국가가 인수해서 공립화 하는 것도 좋다고 본다. 그러나 사학법은 헌법정신과 맞지 않는다고 본다."
- 헌법정신과 맞지 않는 이유가 뭔가.
"개방형 이사제 때문이다. 학교법인은 민법상 재단법인 성격이다. 재단법인은 사법인이다. 일부 전교조가 주장하는 것처럼 공법인이 아니다. 재단 출연 목적에 맞는 사람들로 이사회를 구성하는 게 맞다. 사립학교를 마치 사회에 공여된 공적 자산이라고 주장하는데, 맞지 않다. 학교나 교육이 공공재인가. 그렇다면 사립학교제도가 왜 필요한지 이유를 대야 한다."
- 사학은 사유재산인데 왜 감내라, 배내라 하느냐… 이런 비판인가.
"그 측면도 있고, 자유시장 경제체제 하에서 사유재산권이 인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큰 포인트 중 하나다. 정말 우려하는 바는 앞으로 더 많은 다양한 학교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돈 있는 사람들은 나이 들수록 교육에 뜻이 많아진다.
이런 분들이 재산을 쾌척해서 학교를 지어야 하는데, 이런 사학법이 있으면 진입이 가능하겠나. 그런 게 가장 걱정된다. 사학비리를 잡아야 한다는 것을 누가 반대하겠나. 공립이든 사립이든 광정해야 할 문제점이 많다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방법은 아니다."
- 비리뿐만 아니라 사학을 돈벌이 수단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돈벌이 하려고 학교 지었다면 반드시 부정비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부정비리 없이 깨끗하게 학교를 운영했는데 거기에 규제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옳지 않다. 아이들이 학교를 잘 선택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정보공개가 돼야 한다. 수능 성적 정보공개 청구도 이같은 일환으로 했다. 학교가 졸업생 취업현황이나 재학생들에 대한 평가 등을 공개해야 한다."
- 사학을 규제하는 법이 아예 필요 없다는 건가.
"굳이 법이 필요하다면, 학교정보공개법을 만들 수도 있다. 시장경쟁에서 도태되는 학교들은 빨리 시장에서 빠지도록 하는 게 옳다.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도태되도록 하는 게 훨씬 더 효율적이다. 부실 사립학교는 부실기업과 같다. 관치금융으로 부실기업을 살려줘도 결국 죽는다. 나는 이런 기업들이 죽지 않고 살아남게 만드는 것은 죄악이라고 생각한다. 진입과 퇴출이 학교에서도 자유로워야 한다."
- 너무 시장위주로 말하는 것 아닌가. 교육의 공공성은 필요 없나.
"교육의 공공성이 분명히 있지만 교육이 공공재는 아니다. 교육은 공공성이 큰 사적 재화다. 산업화 시기에는 공공재적 성격에 치우쳐 있으나, 지식기반사회로 갈수록 사적 성향으로 축이 이동한다. 기존의 교육정책도 관점이동이 필요하다. 70~80년대 생각으로 현재의 교육정책을 세우는 것은 실패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우리 교육을 공공재로 취급한다면 효율은 효율대로, 형평은 형평대로 잡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경제학계의 정설이다."
- 학교의 기업화를 주장하나.
"학교로 돈벌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주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 주장은 학교를 기업화하자는 게 아니다. 잘하는 학교는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마련해주자는 것이다. 시장경제 한다니까 오해하는 게 뭐든 기업, 이윤 이런 걸로 얘기하는 사람 취급하는데 그것은 아니다."
- 교육의 시장화가 아니라면 뭘 말하고 강조하고 싶은 건가.
"내가 교육과 관련해 가장 가슴 아프게 생각하는 것은 교육이 부익부 빈익빈의 주 통로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걸 깨야 한다. 학교교육이 피폐해지면서 가난한 집의 똘똘이 아이들이 부잣집 띨띨이와 경쟁조차 못하는 상황이 되고 있다. 이것은 형평에도 맞지 않고 효율성도 떨어지는 것이다. 똘똘이들이 이 사회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고 자라 똘똘한 일을 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 상황이 아니다. 평등교육을 내세우면 내세울수록 교육을 통한 빈익빈 부익부는 심화될 것이다."
- 평등교육이 돼야 가난한 아이들에게도 균등한 교육기회가 돌아가는 것 아닌가.
"학교에 교육기회가 많지 않으니까 대부분 과외로 충당한다. 과외로 가는 순간 모든 교육은 '머니게임'이 된다. 그럼 이런 과외시장을 없앨 것이냐, 이것도 한 방법은 되겠으나 헌법에 위배되는 일이다. 과외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스템을 고치는 방법적 대안이 바로 학교가 다양해지는 것이다. 각 광역시도에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민족사관고 수준의 정말 괜찮은 학교를 짓고 중산층 이상의 아이들이 누리는 교육수준의 혜택을 주자는 거다."
"나는 전교조가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