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노조 잡자"던 김무성 의원 지원 받는 조합원 후보

새누리당 문석주 울산 북구 시의원 후보, 진보당 이은영 후보와 맞대결

등록 2014.05.30 15:19수정 2014.05.30 15:20
0
원고료로 응원
a

울산지역 새누리당 후보 지원 유세에 나선 김무성 새누리당 중앙선대위원장이 5월 26일 북구 평창리비에르 사거리에서 새누리당 문석주 시의원 후보(오른쪽) 등 울산 북구 출마자들과 함께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 새누리당 울산시당


새누리당 김무성 최고위원이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아래 현대차노조) 조합원으로 새누리당 공천을 받아 북구 시의원으로 출마한 문석주 후보 지원 유세를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무성 의원은 지난해 9월 울산 핵심당원 강의에서 "현대차 귀족노조를 두드려 잡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경제발전이 어렵다"고 말해 현대차노조로부터 명예훼손 고소를 당하는 등 양측이 극한 감정으로 치닫기도 했다. (관련기사: 김무성 "현대차 귀족노조 두드려 잡아야 경제가 산다")

현대자동차 울산2공장 현장에서 일하는 문석주 후보는 울산 북구 제2선거구 시의원 선거에 출마해 새누리당 공천을 신청한 세 명의 경쟁자를 물리치고 최종 공천권을 거머쥐었고, 현재 통합진보당 이은영 후보와 치열한 맞대결을 벌이고 있다.

문 후보는 앞서 지난 2010년에도 당시 한나라당 공천을 받아 민주노동당 이은영 후보와 맞대결을 펼쳤지만 이은영 후보가 53.44%의 지지율로 시의원에 당선 된 바 있어 문 후보로서는 이번 6·4지방선거가 설욕전인 셈이다.

귀족노조 두드려 잡아야 한다던 김무성 의원, 현대차노조 조합원 후보 지원

a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지난 2013년 9월 25일 울산 울주군 핵심당원 교육 초빙강사로 강의하면서 "현대차 귀족노조를 두드려 잡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경제발전이 어렵다"고 말한 것이 알려지자 현대차노조가 26일 이를 비난하는 성명을 냈다 ⓒ 현대차노조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해 9월 25일 울산 울주군 핵심당원 교육 초빙강사로 나서 "월급은 두 배로 받으면서 생산성은 이분의 일 밖에 안되는 현대차 귀족노조"라며 "지금 두드려 잡지 않으면 경제 발전이 어렵다"고 연설했고 이 모습은 지역방송 저녁뉴스로 고스란히 방영됐다.

하지만 현대차노조는 이 발언에 대해 성명을 내고 "김무성 의원의 망언을 규탄한다"며 "국회의원직을 즉각 사퇴하고 석고대죄하라"고 요구했었다.


특히 현대차노조는 노조 법률변호사의 자문을 거쳐 김무성을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했고, "수십 년 간 주야 맞교대로 피땀 흘려 일해온 4만6000여 조합원에게 씻지 못할 상처를 남겼다"고 성토했다.

이 고소 사건에 대해 울산지검은 지난 5월 8일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6·4지방선거에서 문석주 후보는 슬로건을 '풍부한 경험 부지런한 일꾼'으로 걸고 "새누리당이 키운 차세대 리더, 깐깐하게 확실하게 일하겠습니다"라며 홍보하고 있다. 그는 공동주택 지원센터 설립, 쇠부리 체육센터 조기 건립, 농소2동에 고등학교 유치 추진, 비정규직노동자 지원센터 확대 운영 등을 공약했다.

이에 반해 통합진보당 이은영 후보는 '믿고 맡겨도 좋은 사람 울산 제1야당 후보'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어떻게 단 한명도 구하지 못합니까, 무능정부를 심판하겠습니다"라며 농소 2동 운동장 조성, 쇠부리 체육관 조기 완공, 산업박물관 유치 운동 등을 공약으로 내걸았다.
덧붙이는 글 박석철 기자는 2014 지방선거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특별취재팀에서 활동합니다
#현대차노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게 뭔 일이래유"... 온 동네 주민들 깜짝 놀란 이유
  2. 2 3일마다 20장씩... 욕실에서 수건을 없애니 벌어진 일
  3. 3 팔봉산 안전데크에 텐트 친 관광객... "제발 이러지 말자"
  4. 4 공영주차장 캠핑 금지... 캠핑족, "단순 차박금지는 지나쳐" 반발
  5. 5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