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27일 새누리당 의원총회에 참석한 정문헌 의원이 2007년 11월 남북 국방장관 회담에서 북측이 정상회담 내용을 근거로 NLL(서해 북방한계선)을 인정하지 않았다며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이 'NLL 포기'를 의미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남소연
정 총장은 논란을 원했던 것은 아니라고 했지만, 일단 논란이 시작되자 추가로 공개한 발언들의 '탄착점'은 분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해 12월 19일 대선에서 3.6%p의 격차로 문재인 후보에 승리했다. 특히 연천·포천 등 경기 북부와 강원 등 북한과의 접경 지역에서 얻은 60%대의 몰표가 박 대통령의 승리를 견인했다.
그러나 NLL 대화록 논란은 해가 바뀐 후에도 수그러들지 않았다.
2012년 10월 30일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 국정원장 원세훈이 국회 정보위원회에 나와 NLL 대화록 공개를 거부하자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정보위원장이 그를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한 일이 있었다.
국회 법사위원장 박영선 의원(민주당)이 2013년 6월 17일 회의에서 "대선 당시 원세훈은 공개를 안 하는 척하고 검찰에 발췌본을 밀봉해서 주고 (국정원 대신) 검찰이 공개하는 시나리오가 있었다"는 제보를 공개했다.
'대화록 공개 시나리오' 언급 3일 만에 대화록 발췌본 보여준 국정원그로부터 3일 뒤 한기범 국정원 1차장이 갑자기 국회 정보위원장실을 찾아 2007년 남북정상회담 발췌본을 보여줬다. 서상기 정보위원장이 "노무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NLL을 포기하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을 직접 확인했다"고 주장하며 'NLL 포기' 발언의 진위에 다시 불이 붙었다.
2013년 6월 24일 오후 국정원의 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는 이런 논란의 연장선에서 나왔다. 그러나 국정원이나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것처럼 노 대통령이 명시적으로 NLL을 포기한 발언은 없었다. 국정원의 대화록 공개 이후 발표된 일부 여론조사에서도 다수 응답은 노무현 대통령이 NLL 포기 의사를 밝힌 것은 아니라는 쪽으로 쏠렸다(디오피니언 7월 1일: NLL 포기다 33.8% - 포기 아니다 54.9%, 한국갤럽 7월 19일: 포기다 21% 포기 아니다 55%).
2012년 대선을 뜨겁게 달궜던 NLL 발언의 진위는 여론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가려졌다. 지난 5월 11일 대통령 보궐선거에서 '노무현 정치'의 계승자인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후보로 나섰지만 'NLL 포기'는 더 이상 쟁점이 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NLL 대화록 논란은 아직 두 가지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
첫째는 2013년의 국정원이 '대화록 공개'라는 무리수를 왜 두었냐는 점이다.
국정원은 "박영선 법사위원장의 발언(6월 17일) 때문에 진위 확인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지만, 당시 여야 원내대표가 협상 중이었던 '국정원 댓글' 국정조사판을 어그러뜨리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정치적 해석이 나왔다(6월 20일 오전 새누리당 최경환·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댓글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에 큰 틀에서 합의하고, 공식 발표만 남은 상황이었다).
'대화록 공개' 결정의 주체가 박근혜 대통령이었다면 최순실 스캔들에 버금가는 정치적 논란을 빚을 만하겠지만, 아직까지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단독 플레이'였다는 것이 정설이다.
남재준 원장은 "나의 독자적 판단으로 공개했다. (공개 과정에서) 국정원 직원들을 설득했다. (대화록 공개의) 역사적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2013년 8월 5일 국회 국정조사특위 기관보고).
5·11 대선에도 출마했던 그는 "노무현 정부가 2007년 NLL을 포기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서해 5도의 우리 국민과 해병대원들이 북한의 인질로 전락할 뻔했다"고 말했다(4월 29일 중도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