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낭규, 송태휘부부
양성자
- 제주4.3평화공원에 위패를 올리지 못한 분이라고 해서 그간의 경위를 듣고 싶었습니다."4.3희생자 명단을 올리라고 해서 처음에는 위패를 올렸습니다. 저는 너무 기뻐서 일본에 사는 남동생, 고모들을 불러 같이 추모제에 참석하고 감격했지요. 그런데 이명박 정부 때 4.3위원회에서 설득하길 "(아버지)김대진씨는 신고철회를 해도 희생자니까 공원 위패는 건들지 않을 것"이라며 철회서를 받아갔습니다.
다음해에 제주4.3 평화공원에 가서 아버지 위패를 아무리 찾아도 없어요. 떼어버린 겁니다. 울며 내려오는데 4.3위원회 직원을 만났어요. "가서 보니 위패도 어서라(없더라). 어떵된거냐(어떻게 된 거냐), 너 말만 믿고 도장 찍어줬는데. 우리 아버지는 살아서도 갈 데가 없더니 죽어서도 갈 데가 없구나, 이것이 평화의 섬, 평화의 나라냐. 뭐가 평화냐"고 악을 썼습니다.
그이도 같이 엉엉 울면서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하는 거예요. 그 사람도 위패까지 뗄 줄은 몰랐다고 해요. 4.3중앙위원회에서 결정을 내리고 실무작업은 그 사람을 시킨 거죠. 3일간 울다가 꼭 미칠 것 같은데, 마침 4.3특집 방송에서 어려운 일 있으면 말하라고 하길래 전화로 사정을 얘기했더니 다음에 연락한다고 끝냅디다. 방송은 '뽄'만 내는 디주(모양만 내는 곳)이더군요. 그 후로 밭에 가면 매일 울었죠. 남편 오면 뭐라 할까 봐 돌아서고, 자면서도 울고."
- 기억 속의 아버지는 어떤 분이셨나요?"저의 아버지는 신촌초등학교 교장 대리 겸 교사였어요. 일제 말기에 징병을 가게 되니까 군인 갔다가 죽으면 어떵허코 허연(어떻하지 해서) 가기 전에 결혼을 시켰죠. 해방을 맞고 3.1절 행사가 돌아왔을 때, 아버지는 학교 선생님들 불러다 태극기를 밤새 만들어 작은 방에 천장 가득 대미고(쌓아놓고) 그걸 마차로 싣고 갔는지까지는 몰라도 3.1절 기념식(*1947년)에 가져갔어요.
그 후 어머니가 슬픈 표정으로 다니고, 동네 사람들은 분주히 오고 가고 했어요. 아버지가 경찰서에 잡혀들어갔다는 겁니다. 그래도 그때는 며칠 안 살고 나온 것 같은데, 그 후 집에서 마음 놓고 주무시질 못하는 겁니다. 갈 데가 어디 있겠습니까. 산으로 갈 수밖에요. 아버지가 저쪽 사상이라면 왜 태극기를 만듭니까? 암만 생각해도 우리 아버지가 공산당이라는 말은 인정할 수가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