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탄력... 한미정상회담도 빨라진다

5월 중순 예정됐던 한미정상회담 앞당겨질 듯

등록 2018.04.30 10:32수정 2018.04.30 10:32
1
원고료로 응원
a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미국 현지시각) 미프정상회담 기자회견 당시 발언하는 모습. ⓒ UPI=연합뉴스


북미정상회담이 5월 안에 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에 앞서 진행될 한미정상회담도 계획보다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8일(현지 시각) 미시간주 워싱턴타운십에서 열린 중간선거 유세집회에서 "북한과의 회동이 오는 3~4주 이내에 열릴 것이다"라고 말해 북미정상회담이 5월 안에 열릴 것임을 예고했다. 

애초 북미정상회담은 5월 말에서 6월 초에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당시 미 국무장관 지명자였던 마이크 폼페이오 CIA 국장이 지난 3월 31일 방북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회 위원장을 만난 데 이어 지난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에 합의하면서 북미정상회담 일정도 계획보다 빨라진 것이다.

이에 따라 5월 중순으로 예정하고 있던 한미정상회담도 앞당겨질 수밖에 없다. 청와대의 고위관계자는 30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이 3~4주 안에 북미정상회담이 열린다고 해 (5월 중순으로 예정된) 한미정상회담과 너무 바짝 붙어 있을 수 있다"라며 "북미정상회당 일정이 잡히면 그것과 연동돼서 한미정상회담 날짜를 잡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장소와 일정이 상당히 좁혀졌기 때문에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좀 빨리 나오지 않을까 싶다"라고 말해 이번주 안에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북미정상회담 장소도 2~3곳으로 압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8일 오후 9시 15분부터 10시 30분까지 한 전화통화에서 북미정상회담 후보지 2~3곳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전날(27일) 트럼프 대통령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마친 뒤 연 공동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회담) 장소에 관해 두 개 나라까지 줄였다"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북미정상회담 장소로는 싱가포르와 몽골의 울란바토르,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스위스 제네바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제3의 장소'로 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의 고위관계자는 "북한이나 미국, 판문점은 아니다"(29일)라고 전했고, 또다른 고위관계자는 "(압축되고 있는 후보지의) 구체적인 장소를 말하기 어렵다"(30일)라고 말했다.   
#한미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트럼프 #김정은 #문재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1970년 전남 강진 출생. 조대부고-고려대 국문과. 월간 <사회평론 길>과 <말>거쳐 현재 <오마이뉴스> 기자. 한국인터넷기자상과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2회) 수상. 저서 : <검사와 스폰서><시민을 고소하는 나라><한 조각의 진실><표창원, 보수의 품격><대한민국 진보 어디로 가는가><국세청은 정의로운가><나의 MB 재산 답사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4. 4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