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반에 발생한 틈을 확대한 모습. 훼손된 채 위험하게 방치되고 있어 안전 진단과 복구 공사가 시급하다.
녹색연합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신규 광산 개발이 진행 중인 부지 위로는 과거 노천 채광 방식으로 개발된 뒤 훼손된 현장이 방치되어 있다. 산림청은 광산 훼손지 일부에 조림을 통한 복구 공사를 진행했지만 직각으로 잘려나간 절개지는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외부로 드러난 암반 곳곳에 균열이 생겨나고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노출된 일부 암반은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균열이 생기고 있어 광산 개발 재개로 인한 진동으로 암반이 붕괴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우려에도 제대로 된 정밀 안전진단 없이 신규 광산 개발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산림청은 부실한 관리·감독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과거 폐광 직후에도 주민들이 훼손지를 관찰해 싱크홀을 발견하는 등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산림청은 광산 훼손지 암반에 대한 정밀 안전 진단, 채광 절개지 복구 및 관리 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방치해 왔다. 2000년 10월 폐광 이후 20년간 폐광산은 물론 화약을 보관했던 화약고, 관리사무소, 컨테이너 등 온갖 불법 폐기물이 방치되다가 2021년에야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문제 제기로 불법 건축물이 철거되기도 했다.
"우리 후손들이 밟고 살아가야 할 땅이라고!"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조항 중 보호지역 내에서 광산 개발 등 일부 개발 사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조문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백두대간 보호지역에서 가행(광물을 캐는 작업을 진행하는 일) 중인 광산은 허가 기간이 종료되면 국유림 대부 및 채굴 연장을 포기하도록 제도적으로 유도하고, 추가 개발 가능성을 막는 노력이 필요하다.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부실하게 복구된 광산 훼손지에 대한 적극적인 복원 대책이 필요하다. 산림청의 <제2차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2016~2025)>에 광산에 대해 언급은 되어 있지만 채석, 채광 훼손지에 대한 온전한 복원은 요원하다. 폐광 후 복구 공사가 형식적으로 진행되어 절개지 암반에서 바위가 떨어지고 토석이 쓸려내려가기도 한다.
광산 개발은 산림 훼손과 지형 훼손을 가져오는 개발 사업이다. 이 때문에 허가 과정이 신중하고 엄격해야 한다. 국유림 대부만으로 산림청의 책임이 끝나는 것이 아니다. 엄격한 기준과 원칙으로 훼손지를 지속 가능하게 복원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주기적으로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광산 개발이 불가피하더라도 산림 복원은 반드시 정확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백두대간 보호지역은 국토의 2.6%, 전체 산림의 4%를 차지한다. DMZ, 연안해안과 함께 한반도의 3대 생태축으로 엄격한 보호와 관리가 필요하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은 단일 보호구역으로 국내 최대 규모지만 실상 도로, 철도, 광산, 댐 등 개발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다. 현장 관리 조직이 없는 것도 적극적인 보호지역 관리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지 20년이다. 백두대간이 한반도의 생태축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보호 정책을 펼쳐왔는지 돌아보고, 제도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 붕괴가 가속화 되는 시대에 보호지역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 생태축 회복과 재난 대비를 위한 복원이 시급한 상황에서 다시 추진되는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광산 개발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마침 뜻밖에도 올해 백두대간이 많은 이들에게 회자됐다. 천만 관객 흥행 돌풍을 일으키며 백두대간을 상기시킨 장재현 감독의 영화 <파묘> 덕분이다. 영화에서 최민식 배우가 열연한 풍수사 김상덕은 말한다.
"땅이야 땅. 우리(후손)들이 밟고 살아가야 할 땅이라고!"
그의 외침을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20주년이 된 지금, 우리 모두 다시 되새겨야 할 때다.
▲ 광산 개발 재개된 백두대간 보호지역 ⓒ 녹색연합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2
공유하기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