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1%p 접전 중인 이재명·윤석열... 당선 전망도 초박빙

[전국지표조사] 이재명 35%-윤석열 34%-안철수 10%-심상정 2%

등록 2022.01.27 13:11수정 2022.01.27 15:30
9
원고료로 응원
a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 오마이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27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의 대선후보 다자대결 조사 결과, 1%p의 박빙 승부를 이어가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4~2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응답률 26.7%)을 전화면접 방식(휴대전화 가상번호 100%)으로 조사한 결과, 이재명 후보는 35% 지지도를, 윤석열 후보는 34% 지지도를 기록했다. 안철수 국민의당후보는 10%, 심상정정의당 후보는 2%였다. '없다+모름/무응답'으로 태도를 유보한 응답층은 18%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로, 두 후보의 격차는 전주 대비 변화가 없었다. 두 후보 모두 전주 조사(17~19일) 대비 각각 1%p 상승한 결과다. 반면, 안 후보는 전주 대비 2%p 하락하고 심 후보도 전주 대비 1%p 하락했다.

다만, 적극적 투표층(n=826)을 대상으로 물은 다자대결 조사는 다소 달랐다. 윤석열 38% - 이재명 37% - 안철수 9% - 심상정 2% 순이었다. 전주 조사 당시의 적극적 투표층(n=815)에서는 이재명 38% - 윤석열 36% - 안철수 11% - 심상정 3% 순이었다.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대선 당선 전망 후보를 물은 결과 역시, 윤 후보가 전주 대비 3%p 상승한 37%를 기록한 반면, 이 후보는 전주 대비 2%p 하락한 38%를 기록했다. 1월 1주 차 조사 당시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대선 당선 전망을 물었을 때 24%p 격차로 뒤쳐졌던 윤 후보가 이번 조사에서 1%p 격차로 따라붙은 셈이다.

"TV 토론 결과 따라 지지 후보 바꾼다" 응답, 20대와 30대에서 높아

한편, NBS는 이번 조사에서 차기 대선 지지 후보가 있는 응답자(n=822)에게 TV 토론회 결과에 따라 지지 후보 변동 가능성을 물었다. 그 결과, "TV 토론회 결과와 상관없이 지지 후보를 계속 지지할 것이다" 응답이 66%, "TV 토론회 결과에 따라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 응답이 33%로 나타났다.


특히 18·19세 포함 20대와 30대에서 TV토론회 결과에 따라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높은 편이었다. 20대의 경우,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답변이 68%, 30대의 경우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답변이 50%로 나타났다. 이재명 후보 지지층(n=350)에서는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32%, 윤석열 후보 지지층(n=337)에서는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21%로 나타났다.

참고로, 차기 대선 지지 후보가 없는 응답자(n=178)에게 TV 토론회 결과에 따라 지지 후보를 결정할지 물은 결과에서는 "결정할 것이다"는 응답이 55%,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36%였다.


이번 조사의 자세한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원회 홈페이지 및 NBS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재명 #윤석열 #전국지표조사 #TV토론회 #지지율
댓글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2007~2009.11)·현안이슈팀(2016.1~2016.6)·기획취재팀(2017.1~2017.6)·기동팀(2017.11~2018.5)·정치부(2009.12~2014.12, 2016.7~2016.12, 2017.6~2017.11, 2018.5~2024.6) 활동.


AD

AD

AD

인기기사

  1. 1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2. 2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3. 3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4. 4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5. 5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