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 압사 참사가 발생한 골목길로 향하는 길이 경찰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
권우성
[기사 보강 : 4일 오후 2시 59분]
10월 29일 이태원 핼러윈 축제 현장에서 벌어진 참사로 온 사회가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언론은 유가족과 시민들이 사고의 충격을 견뎌낼 수 있도록 돕고, 다시는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게 원인을 규명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신중한 보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사건 초기 많은 정보가 뒤섞인 상황에서 언론의 신중하지 못한 보도는 또 다른 피해를 양산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혼란스러운 현장에서 단편적인 정보만 갖고 누군가를 특정해 사고의 원인을 찾는 듯한 보도는 시민들의 슬픔과 분노의 방향을 잘못 유도해 사건 피해자들이 오히려 비난의 대상이 되거나 무고한 사람을 주범으로 몰아갈 수 있어 대단히 위험합니다.
MBC '약물' 주장 인터뷰이 방송 논란
MBC는 뉴스특보를 진행하는 도중 이번 사건에 대해 '단순 압사 사고가 아니라 약이 돌았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고 주장하는 시민 인터뷰를 그대로 내보내 논란이 됐습니다. MBC 앵커가 "현장 상황이 어떤지 보이는 그대로 전해달라"고 말하자, 전화 연결된 시민은 '처음에는 압사 사고라고 들었는데 단순 압사 사고가 아닌 것 같다. 이태원에서 약물이 돌았다는 말이 있는 것 같다'는 취지로 발언했습니다.
생방송 과정에서 이러한 '돌방성' 인터뷰가 생기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닙니다. 대형사고가 발생하면 혼란스러운 현장에서 목격자들은 다소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앵커의 대응입니다.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2014년 언론인들 스스로 제정한 재난보도준칙 13조와 14조는 '확인되지 않거나 불확인한 정보는 보도를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단편적이고 단락적인 정보를 보도할 때는 부족하거나 더 확인돼야 할 사실이 무엇인지 함께 언급하여 독자나 시청자가 정보의 한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뉴스 진행자는 목격자들의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정보의 한계를 시청자들이 인식하도록 해야 합니다. MBC 앵커도 "물론 추정입니다만" "조심스러운 추정" 등의 말을 덧붙였지만 "목격자님께서 보시기에 단순한 압사는 아니다. 많은 사람이 엉키면서 밟히면서 일어난 사고는 아니다"라며 발언을 다시 한번 정리하는 등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후 MBC는 '현장 상황을 예단할 수 없다'고 강조했고 마약이 돌았다는 주장과 관련해 경찰의 '사실이 아니라'는 발표도 전달했지만, 최초 속보의 파장을 고려했을 때 인터뷰 및 전달 과정에 조금 더 신중했더라면 아쉬움이 남습니다.
사건 시작으로 지목된 "내려가!" "밀어!" 영상... 원인 맞을까
'누가 먼저 밀었느냐'는 식의 소위 '범인'을 찾으려는 언론의 시도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좁은 장소에 인파가 몰려 벌어진 사고에 누가 밀기 시작했는지는 실제 사건의 원인에 중요하지 않을 뿐더러 그 사람들에게 대형 참사의 고의가 있었다고도 보기 어렵습니다. 언론이 관련 보도에 신중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SBS는 10월 30일 오후 4시경 <"밀어" 고함 뒤 비명... 이태원 참사 목격자들 공통된 증언>(10/30)에서 "사고 전후 이태원 상황이 담긴 제보 영상"이라며 시민들이 "내려가!"를 연호하는 제보영상을 보도했습니다. SBS뿐 아니라 JTBC <"뒤로" 외쳤지만 순식간에... 사고 직후 혼돈의 순간들>(10/30), TV조선 <"당시 '밀어! 밀어!' 소리 들렸다"... 정확한 사고 원인 오리무중>(10/30), YTN <[자막뉴스] 손짓 몇 번에 움직이는 사람들?... 이태원 참사현장서 포착된 장면>(10/30) 등 현장에서 시민들이 외친 구호가 사건의 시작이라 짚은 보도가 다수 나왔습니다.
그러나 10월 31일 오전 새로 알려진 사실만 봐도 당시 시민들이 외친 구호가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그날 아침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에는 사고 2~3시간 전 시민들이 똑같이 '내려가'를 외치면서 질서를 회복하고 막힌 길이 뚫리기 시작하는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현장에 제대로 된 통제가 있었는지가 문제의 핵심이지, 수백 명이 밀고 밀치는 상황에서 누가 먼저 밀었느냐를 찾는 것은 공허한 논쟁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인터넷 커뮤니티발 소문 잇따라 보도, '마녀사냥' 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