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이태원 참사] 유가족·부상자 등 트라우마 치료 '패스트트랙' 적용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이태원 사고 관련자 예약·진료 최우선' 요청

등록 2022.11.06 11:57수정 2022.11.06 12:22
0
원고료로 응원
a

5일 오후 이태원 압사 참사 추모공간이 마련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 권우성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이태원 참사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이 있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을 경우 빠른 예약과 진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는 최근 회원들에게 "이태원 사고와 관련된 분들에게 신속한 치료적 개입(진료 패스트트랙)을 요청한다"는 내용의 문자를 발송했다.

의사회는 "예약제로 운영하시는 경우 (이태원 사고 관련자에게) 최우선으로 예약을 잡아주시고 예약제를 운영하지 않는 경우 사고 관련자에 대해서만은 예약 후 방문으로 해 대기실에서 당사자 신원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권고 형태여서 강제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번 참사가 대규모 인파가 몰린 가운데 벌어지면서 심리지원 대상자의 범위 설정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정신건강 관련 상담의 문턱을 다소나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사회는 이번 조치의 '사고 관련자' 범위를 사망 유가족 및 지인, 사고 부상자 및 가족·지인, 현장 목격자(취재 언론인 포함), 소방관·경찰관·구급요원·의료인 등 구호 활동에 참여한 사람으로 정했다.

앞서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지난 4일 이태원 사고와 관련해 트라우마-심리지원 전문가 간담회를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간담회 자리에서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를 비롯한 유관단체 관계자들 사이에 신속한 의료 개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태원 참사로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유가족과 부상자, 대응 인력,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심리지원을 하고 있다.

직접 관련자가 아니더라도 정신건강 위기 상담 전화(1577-0199)로 누구나 상담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각 지자체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학과 등으로 연계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참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D

AD

AD

인기기사

  1. 1 딸이 바꿔 놓은 우리 가족의 운명... 이보다 좋을 수 없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헌법 84조' 띄운 한동훈, 오판했다
  5. 5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