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길 탐방] 울진 십이령고개

잊어버린 옛길을 찾아 나서다

등록 2009.01.28 15:21수정 2009.01.28 15:22
0
원고료로 응원
미역, 소금, 어물지고 춘양장 언제가노/ 대마, 담배, 콩을 지고 울진장을 언제가노/
반 평생을 넘던 고 이 고개를 넘는구나/ 서울가는 선비들도 이 고개를 쉬어 넘고/
오고 가는 원님들도 이 고개를 자고 넘네/ 꼬불꼬불 열두 고개 조물주도 야속하다/
가노 가노 언제 가노 열두 고개 가노/ 시그라기 우는 고개 내 고개를 언제 가노 

a

샛재에서 찬물내기 계곡으로 내려오는 옛길의 정취 오랜동안 인적이 끊긴 옛 길의 정취가 아련하다. 낙엽이 무릅까지 와 닿는다 ⓒ 한철희


경북 울진 흥부(지금의 부구)지방에 내려오는 구전 민요 십이령가(十二嶺歌)의 일부분이다. 선말한초 당시 고단한 세월에 부침 많았던 부보상의 곤로한 삶과 애환들이 물컹물컹 묻어나는 대목들이다. 그럼 그들은 왜 허리가 반으로 꺾이는 고단함을 무릅쓰고 수 많은 봇짐과 등짐을 이고 지며 150여 리나 되는 그토록 먼 노정을 꾸역꾸역 내왕했을까?


  울진 십이령길이란 울진과 봉화 사이, 고달픈 발품이나마 어쩔 수 없이 강요된 거친 삶을 이어가기 위해 부보상들이 넘나들던 열두 고개의 총칭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이 보붓길은 울진 흥부(부구)에서 출발하여 쇠치재->세고개재->바릿재->샛재->느삼밭재->저진치재->새넓재->큰넓재->꼬치비재->멧재->배나들재->노룻재->소천(내성)에 이르는 약 150여 리의 멀고도 먼 길을 말한다. 여기서 꼬치비재부터는 36번 국도가 지나가는 봉화 땅이다.

  그러나 현재 울진 십이령고개를 넘어 봉화 내성장과 춘양장, 그리고 멀리 안동장까지 봇짐과 등짐을 이고 지며 부보상들이 내왕했던 그 옛길을 고스란히 복기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부질없는 세월에 밀려난 탓도 있지만 현대문명이라는 편리와 이기에 수 없이 망가지고 무력하게 뭉텅뭉텅 잘려 나간 산천이 한두 곳이 아닌 이유다. 아니 어쩌면 아날로그 그 옛길을 찾아본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는지 모르겠다.

a

소광천 계곡을 따라 옛길을 오르다 계곡의 순수한 원시가 그대로 남아있다. 이곳도 겨울의 가뭄 때문인지 계곡의 많은 부분이 바닥을 드러내 놓고 있었다. ⓒ 한철희


  그러나 아직 예전 그 부보상들의 고단한 삶과 거친 숨소리 그리고 그 지린 땀냄새를 약간이나마 추억할 수 있는 곳이 기적적으로 살아 남은 곳이 있다. 거기에 사위를 아우르는 천혜의 자연풍광까지 더하면 이 시대에 이런 비경이 아직 남아 있나 싶을 정도다. 사시사철 푸른 청정수를 받아내는 소광천이 그러하고 그 차가움으로 유명한 찬물내기 계곡이 또한 그러하다. 거기에 하늘을 찌르듯 너무도 당당한 우리나라 최대의 금강소나무 군락지를 대하자면 한없이 작아지는 나의 존재에 짐짓 부끄러워진다. 여기가 바로 말래(두천리) -> 바릿재->샛재->대광천에 이르는 약 9km 거리이다. 놀며 쉬며 흥에 겨워 느릿느릿 기껏 약 네댓 시간이면 족하다.

보통 십이령길은 부보상들의 걸음 따라 울진 두천리에서 출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우리는 반대편 소광리 후곡동 후곡교에서 하차, 소광천 계곡을 끼며 옛길을 올랐다. 계곡 깊숙한 곳까지 비교적 잘 닦여진 시멘트 포장 길은 바싹 마른 계곡임에도 그래도 겨울이라고 군데군데 얼음에 반사되는 형용한 빛과 어울려 하나의 실루엣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하늘만은 무슨 심산인지 금방이라도 무슨 사단을 낼 것처럼 잔뜩 볼 나 있다. 결국 산행 시작 30여분이 안되어 부슬부슬 보슬비를 흩뿌리고 만다. 아무리 사소한 비라도 이 겨울에 쓸데없는 용기로 맞선다는 것은 무모한 일임을 모르진 않는다. 여기저기서 제각각 배낭을 풀어 나름의 대책을 강구한다. 문득 형형색색의 행색과 복장이 장엄하다. 아주 옛날, 이 겨울에 그때 그 부보상들의 삶의 행렬은 또 어떠하였을까?

a

금강송-일명 황장목 대궐대들보로 쓰였다는 금강송-이 옛길은 금강송 트레킹이라 불려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금강송의 위용이 실감할 수 있다. ⓒ 한철희


어느 지점에 이르러 편안한 임도를 버리고 계곡을 가로질러 산길로 접어들었다. 산길 초입에 산림청장의 지엄한 말씀이 눈에 익다. <이 지역은 보호수 금강소나무 군락지로 문화재용 보호수림지역임> 금강송에 대한 산림청장의 귀중한 예우다. 그러고 보니 산의 주인이 비로소 눈에 찬다. 당당히 하늘을 견주며 우뚝 선 우람한 체구들. 전혀 비굴하거나 비겁한 행색이 없다. 세상을 똑바로 노려보며 눈을 부라리는 듯 그 어느 하나 꿀림이 없다. 문득 내가 왜 눈 둘 곳이 이렇게 민망할까? 유난히 붉어 적송으로 불리며 또 춘양목이라는 생뚱 맞은 별명을 얻고도 당대의 대궐재목이 아니면 감히 섞이지 않는 당당한 기개가 그렇게 부담스러워서일까? 나만 그런가?


a

조령성황사와 샛재 고개마루 샛재고개마루-조령성황사 당호가 서 있다. 최근 울진군에서 옛길 복원과 함께 관광지로의 개발을 계획중이라 한다 ⓒ 한철희


조령성환사(鳥嶺城隍祠)이라는 당호를 보고 이 고개가 지도상의 샛재(710)임을 안다. 고개 마루 양 옆으로는 감히 가늠할 수 없는 연륜과 무게를 지닌 금강송 수십 그루가 주위를 호위하며 경계를 취하고 있다. 우리 일행 중 하나가 고개를 넘을 때마다 제물을 바쳐야 한다며 술을 따르고 흥을 돋워 너스레를 떤다. 아, 그때 그 당시 이 길을 다니던 부보상들은 또 어떤 놀이와 대화로 그들의 쓸쓸한 삶을 달랬을까?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성황당 안에 살며시 들여다본다. 목판에 빽빽한 글씨가 빼꼼한데 읽어내기가 여간 수월치 않다. 

a

찬물내기 계곡을 따라 나 있는 적송과 옛 길 발재를 오르기 전, 계곡과 나란한 옛길은 적송만큼이나 황톳길이 유별나다. ⓒ 한철희


찬물내기는 샛재 고개마루를 지나 약 20 여분 지나면 다시 임도와 만나는데 그 임도 아래를 흐르는 계곡이다. 이 계곡은 샛재와 발재 사이를 가로질러 울진 두천리로 흐르며 일년 내내 그 물이 차고 그윽해 그런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그러나 예전은 어떠했는지 모르겠으나 지금은 산허리를 뭉텅 잘라내 개설된 임도로 인해 그 계곡의 깊은 맛과 그윽한 맛은 많이 줄었다. 오히려 산중 포장도로를 걷는 길이 외롭다. 더군다나 부슬거리는 비가 겨울의 언 땅과 만나 얇은 살얼음을 만들어내니 그 길을 참아낸다는 것은 참말로 고역이 아닐 수 없다. 예전 부보상들이 결코 경험해보지 않았을 새로운 경험일터다.


a

발재와 발재를 관통하는 임도 발재를 관통하는 임도-여기서 옛길은 아래쪽 민가(발현동)를 지나 왼쪽으로 접어들어야 한다. 길찾기 주의 ⓒ 한철희


일명 십이령이라고도 하는 발재는 이름과 발리 나지막한 고갯마루다. 고갯마루 위쪽에 무사안일을 빌었을 산신당이 있고 그 아래 폐가인 듯 민가가 보인다. 지도상에는 발현동으로 표기되어 있다. 옛 길은 여기 이 민가를 우회해 왼쪽 산길로 접어들어야 했으나 우리는 그만 지도를 잘못 읽어내고 이 고개에서 왼쪽 능선으로 바로 접어들어 한 동안 애를 먹었다. 산쟁이는 길을 찾는데 본능적으로 능선의 냄새를 맡는다는 대장의 말에 모두 머리를 끄떡였지만 어쩐지 짐짐하다. 어쨌거나 작은 지능을 두 번 넘고 계곡을 한 번 건너 결국 옛 주막 터 부근에서 옛 길을 만났다.

주막집은 맥없이 고개 숙인 갈대와 억대 속에 그 형체는 온데간데 없고 쓸쓸한 기왓장과 주춧돌만이 그 자리가 한때 영화로웠음을 외로이 항변하고 있다. 무너진 돌담 사이로 헝클어진 칡 넝쿨만이 제세상을 만난 듯 어지럽다. 무구한 세월을 이길 자 그 누구일까? 한 세기 전, 이 자리에서 거나하게 한 잔 술에 의지해 육자배기 짙은 고단한 삶을 토해놓으며 야속한 세월을 원망했을 그들은 도대체 다 어디로 갔을까? 그들은 저들의 삶 방식에 동의를 하긴 했을까?

a

두천리 초입의 전각과 불망비 두천리 초입에 위치한 불망비로 乃城行商班首權在萬不忘碑로 음각되어 잇는데 이는 울진과 봉화간의 내왕이 많았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 한철희


얼마 후 실개천을 따라 난 길을 약 20 여분 걸어나오니 뜻밖의 전각이 우리를 반긴다. 아래에 비문이 있어 자세히 뜯어보니 '乃城行商班首權在萬不忘碑'라 음각되어 있다. 아마 예전 부보상들이 이 길을 넘나들면서 어쩔 수 없이 부딪쳐야 했을 여러 가지 곤욕들을 해결해준 은인에 대한 감사의 비문이리라. 그런데 가만, 그 세세한 내용이 문득 흥미롭다. '乃城'이라면 봉화 내성을 말할 것인데 이 비문이 봉화가 아닌 울진 동쪽에 세운 이유가 일순 궁금해진다. 생각을 찝으며 곰곰이 뜯어보는데 아뿔싸! 모르긴 몰라도 아마 이쪽 사람들에겐 이 보붓길이 그만큼 당시의 문경새재만큼이나 절실한 길이었으리라. 단순한 삶이 아닌 절체절명의 생존의 길로 말이다. 무릇 이 생존의 길에 있어 어찌 너남의 경계가 존재하였으리!

비문을 뒤로한 채 앞을 유유히 흐르는 두천계곡의 징검다리를 퐁당퐁당 건너온다. 멀리 발재가 아슴하고 그 사이로 어딘가에 크고 작은 등짐과 봇짐을 이고 진 부보상들의 장엄한 행렬이 잡힌다. 하나같이 허리가 꺾였는데 신기하게도 누구 하나 길을 불평하는 자가 없다. 길은 걷는 만큼 줄어들고 줄어드는 길만큼 삶도 그만큼 단단해질 것이다. 비록 단단해진다는 것이 행복을 담보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울진십이령고개 #옛길-울진십이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섭지코지 한가운데 들어선 건물... 주민들이 잃어버린 풍경
  2. 2 우리 부부의 여행은 가방을 비우면서 시작됩니다
  3. 3 김건희 문자, 여론조작 의혹으로 불똥? 이준석 "댓글팀 용어 신기"
  4. 4 '우천시' '중식' '심심한 사과' 논란, 문해력만 문제일까요?
  5. 5 '급발진'처럼 보였던 아버지의 교통사고, 알고 보니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