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부정행위에 자주 쓰이는 시계
이완구
다른 모든 것들이 진화했듯이, 시험 부정행위 방법도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해왔다.
▶초치기 공부 잘하는 학생을 정답 제공자로 미리 섭외해 놓는다. 제공자와 수혜 학생들은 동시에 시계의 시간을 똑같이 맞춰놓고, 정해진 시간부터 1분 혹은 수분 단위로 정답을 알려줄 것으로 약속한다. 제공자는 1명이지만 수혜자는 여럿일 수 있다.
시험이 시작된 후, 정답을 제공할 학생이 문제를 모두 풀고 약속된 시간이 되면, 5초 단위로 번호를 부여한 시간에 헛기침과 같은 정해진 신호를 보내 정답을 전달한다. 단시간 내에 많은 인원에게 정답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는 부정행위 방법이다.
▶동작이 방법은 수혜자가 교실의 뒷자리에 앉았을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자신보다 앞에 앉아 있는 공부 잘하는 학생들을 정답을 제공할 대상으로 섭외한다. 1번은 누구, 2번은 누구, 3번은 누구의 방식이다.
1번을 맡은 학생은 특정시간에 미리 약속된 동작을 통해 정답을 알려준다. 예를 들면, 왼손으로 귀를 만지고 있으면 1번,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고 있으면 2번을 의미하는 식이다. 시간대별로 수혜자 학생은 제공자 학생들을 쳐다 보기만 하면 답을 알 수 있게 된다.
▶휴대폰 문자많이 알려진 사례다. 공부 잘하는 학생이 먼저 문제를 모두 풀고 답안지를 제출하고 교실 밖으로 나간다. 교실을 나간 학생은 안에서 애타게 정답을 기다리는 미리 약속된 학생에게 휴대폰 문자를 통하여 정답을 제공하고 교실 안의 학생은 그것을 보고 정답을 해결한다.
▶사인펜 빌려주기답안지를 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용 사인펜이 필요하다는 점을 악용한 사례다. 정답이 적힌 종이를 건네주는 것은 전통적인 방식이지만, 그것보다 더욱 진화된 형태다. 정답 제공자는 정답이 조그맣게 적힌 종이를 컴퓨터용 사인펜 뚜껑에 넣는다.
정답을 제공받기로 되어있는 학생이, 그 상황을 지켜보다가 컴퓨터용 사인펜을 지참하지 않았다며 펜을 빌려도 되겠느냐고 교사에게 묻는다. 정답을 제공하려는 학생은 이때를 놓치지 않고 자신은 시험문제를 모두 풀었다며 펜을 빌려줄 의사를 표시한다.
백이면 백, 교사들은 정답이 적힌 종이가 들어있는 펜을 배달해준다. 친절하게도.
따라서 진화한 부정행위 방지 방법학생들의 시험 부정행위 방법도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했듯이, 시험 부정행위 방지 방법도 그에 맞춰 진화했다.
▶OMR 카드 형태 바꾸기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주어진 문제의 정답에 해당되는 답안을 답안지에 숫자로 쓰는 방식이 많이 씌였지만, 90년대 중반 이후에는 OMR을 통해 정답을 기입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고, 현재는 대부분의 시험에서 OMR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숫자를 수기로 작성하는 예전에는 다른 사람이 옆 혹은 대각선 위치에서 답을 쉽게 볼 수 있도록, 답에 해당하는 숫자를 일부러 크게 작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OMR방식으로 답안을 작성하는 최근의 부정행위에는 상대방의 답안지에 써있는 글자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상대방의 답이 몇 번에 색칠해져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부정행위 방지 답안지'다. 답안이 기록될 칸에 미리 카드리더기가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답안이 기록될 모든 칸에 까맣게 색을 칠해놓은 답안지다. 부정행위를 시도하려는 학생들이 쉽게 상대방 답안을 보기 힘들도록 장애 요소를 추가해 놓은 것이다. 조금만 떨어져서 답안지를 바라보면 답이 어디에 기록되어있는지 구분하기가 상당히 힘들게 만들어져 있다.
▶휴대폰 수거, 퇴실시간 지키기휴대폰을 통한 시험 부정행위는 시험시작 전 휴대폰을 반납하도록 해서 예방한다. 휴대폰을 미리 수거하면, 휴대폰을 사용한 시험 부정행위를 대부분 예방할 수 있다.
퇴실시간 지키기는 시험문제를 미리 푼 학생들이 밖으로 나가 휴대폰 등을 이용한 부정행위를 할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서, 모든 학생들이 시험을 완료하기 이전에는 시험실 밖으로 퇴실을 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교실 시계치우기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적용되는 방법으로, 학생들이 교실에 걸린 시계를 이용하여 시험 부정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아예 시계를 치워놓는 방법이다. 감독자는 주기적으로 시험시간에 대해 안내를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