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부총리는 후보시절 부터 부동산규제완화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자료 : KBS화면 캡쳐
KBS1
특히 박근혜 정부는 '줄푸세(세금을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치를 세운다)의 화신'이라 평가되는 최경환 의원을 경제부총리 자리에 앉혔다. 인사 청문회 당시 '서울 집값이 높지 않다'고 한 최 부총리가 펴고 있는 경제정책의 핵심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었다.
부자들에게도 1%대의 이자율로 주택구입자금을 빌려주는 '손익공유형 모기지' 등 최 부총리는 "빚내서 집사라"는 정책으로 일관하고 있고, 기업의 임대주택 사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각종 혜택과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퉁퉁 불어터진 국수"라며 가장 아쉬워 한 정책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는 부동산 3법이었다. 박 대통령은 '불어터진 국수'를 먹고도 부동산 경기가 꿈틀댔다면서 더 강력한 정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러한 부동산 경기 부양 속에는 서민들의 주거난이나 주거권에 대한 고민은 빠져있다.
여당 대표의 인식은 우리를 더욱 놀랍게 한다. 지난 3월 25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한 대학의 특강에서 "힘을 얻기 위해서라면 자유를 유보해서라도 경제를 빨리 발전시켜야 한다. 이게 박정희 대통령의 5·16 혁명이었다"라고 이야기했다.
5·16 쿠데타를 혁명이라 부르며, 경제 발전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이어 김 대표는 "경제의 비약적인 발전, 한강의 기적으로 전 세계인들이 '대한민국 경제발전은 기적'이라고 부러워한다"라며 "이렇게 전 세계인들이 우리나라를 인정하는데 좌파들은 현대사를 부정적으로 가르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관련기사 :
김무성 "자유 유보해서 경제 발전, 이게 5·16 혁명").
김무성 대표의 논리는 세월호 참사 때 여당이 보여준 논리와 맞닿아있다. '경제가 어려운데 진상규명이 뭐가 중요하냐', '경제가 어려운데 언제까지 세월호 이야기 할꺼냐'는 식의 인식이 그것이다. 경제논리가 최우선이며 여러 가지 사회적 가치들은 경제논리의 하위 범주일 뿐이다. 그런 사람의 눈으로는 '좌파'의 문제제기가 이해될 리 없다.
세월호 참사가 있은 지 1년. 박근혜 정부의 모습을 보면 변한 것이 없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들은 돈의 논리가 아닌 '인간'이 중심이 되는 사회를 바랐다. 경제논리를 앞세운 무분별한 비용절감, 구조조정 등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생각들이 확산되었다. 박근혜 정권의 정책은 이러한 국민들의 염원과는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다.
하지만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더 이상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는 우리경제가 성장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불평등은 사람들이 살아가기 힘들 정도로 심화되어 있고, 세계경제의 현황은 이전과 같이 수출을 통해서 고도성장을 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새로운 방도를 찾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다시 한 번 세월호 참사가 우리 경제에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세월호 참사 1년, 박근혜 정부 변한 것 없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