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6월 19일 오전 부산 기장군 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에서 열린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
신고리 5·6호기를 짓는다면, 그 뒷감당을 하는 데 최소 10만 년의 시간이 걸린다. 바로 핵폐기물 때문이다. 또한 60년 뒤 신고리 5·6호기의 수명이 다하면, 폐로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추가되는 것이다.
지난 6월 고리 1호기 폐로가 결정됐다. 고리 1호기는 한국 최초로 가동된 원전이자, 최초로 폐로 결정이 된 원전이다. 막대한 비용과 핵폐기물 처리 문제 때문에 골칫덩이로 전락한 고리 1호기의 운명은 신고리 5·6호기의 암울한 미래를 보여준다.
고리1호기, 20년 폐로과정이 시작된다 2014년 기준 전 세계 438개 원전 가운데 영구정지 된 원전은 150기로, 이중 해체가 완료된 원전은 19기 뿐이다. 한국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폐로 기술개발과 핵폐기물 처리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폐로는 원전정지 이후 해체계획을 수립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제염(除染), 절단·해체, 방사성폐기물 처리·처분, 환경 복원의 네 단계로 진행되며, 15~20년 정도 소요된다.
해체하기로 결정됐지만, 계획서를 작성하고 주민공청회를 거쳐 원자력안전위원회 허가를 받는 계획수립 과정에만 2022년 6월까지 5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해체계획수립 과정과 동시에, 고리 1호기의 사용후 핵연료는 물이 있는 수조에 담겨 2024년까지 냉각 보관된다. 수조에 담긴 습식저장시설의 경우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위험이 커져, 물 대신 기체나 공기를 냉각제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금속통에 보관하는 건식저장시설도 준비하고 있다.
올해 10월까지 건식저장시설 구축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까지 건식저장시설을 건설한 후 사용후 핵연료를 2025년 말까지 보관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용후 핵연료를 꺼낸 뒤 2030년까지 본격적인 건물 해체 작업이 진행되고, 이후 2032년까지 원전건물이 없는 부지가 될 때 해체가 완료된다.
폐로 기술과 폐로 비용도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