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조국 "영원한 대통령 노짱님, 검찰개혁 완수하겠습니다"

노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 앞두고 추모글 올려... 검찰개혁 완수 다짐

등록 2024.05.23 11:46수정 2024.05.23 14:17
4
원고료로 응원
a

23일 오후 봉하마을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서 열린 15주기 추도식에 참석하기 위해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입장하고 있다. ⓒ 윤성효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5주기에 낸 추모글을 통해 "22대 국회에서 검찰개혁을 완성하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조 대표는 23일 공개한 추모글에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해 "검찰이 제자리를 찾도록 권력을 내려놓고, 국민을 섬기는 참된 기관이 될 수 있다고 희망하며 노력하셨습니다"라며 "그 선의는 악의로 돌아왔습니다. 검사들은 개혁에 저항했습니다. 수사로 보복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조 대표는 또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해 "검찰독재 정권이 출범했습니다"라며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이 검찰총장을 패싱하고 '배우자 방탄 인사'를 합니다. '친윤'으로는 성에 차지 않아 '진윤', '찐윤'을 발탁합니다. 검찰 게시판은 조용합니다"라고 비판했다.
 
조국 대표는 "노 대통령께서 20년 전 받은 먼지떨이 표적 수사와 편파 불공정 수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라며 "헌법과 법률을 고칠 수밖에 없습니다. 검찰 개혁을 22대 국회에서 완성하겠습니다"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조국 대표의 추모글 전문이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15주기 조국 대표 추모글
 
우리 마음속의 영원한 대통령, '노짱'님!
벌써 15년입니다.
당신의 밀짚모자와 넉넉한 웃음, 막걸리와 자전거가 떠오릅니다.
퇴임하며 "야, 기분 좋다" 하신 말씀이 들리는 듯합니다.
그래서 더 아픕니다.
저는 압니다. 유폐된다는 게 무슨 말인지.
검찰과 언론에 의해 조리돌림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압니다.
노 대통령님께서는 그들과 토론하려고 했습니다.
그 진심을 저는 압니다.
검찰이 제자리를 찾도록, 권력을 내려놓고,
국민을 섬기는 참된 기관이 될 수 있다고 희망하며 노력하셨습니다.
그 선의는 악의로 돌아왔습니다. 검사들은 개혁에 저항했습니다.
비아냥대고 조롱했습니다. 수사로 보복했습니다.
저는 궁금합니다.
당시 대통령을 윽박지르던 검사들,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그 검사들에게 손뼉 치던 검사들, '집단 사표 제출' 운운하던 검사들, '살아있는 권력 수사'랍시고 찬양하던 검사들, 지금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검찰독재 정권이 출범했습니다.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이 검찰총장을 패싱하고
'배우자 방탄 인사'를 합니다.
'친윤'으로는 성에 차지 않아 '진윤', '찐윤'을 발탁합니다.
검찰 게시판은 조용합니다.
검사 2,300명 중 사표 내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습니다.
검찰총장이 기껏 한다는 게 '7초 침묵시위'입니다.
비겁합니다. 세상에 이런 겁쟁이 집단이 어디 있습니까?
노 대통령께서 20년 전 받은 먼지떨이 표적 수사와
편파 불공정 수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자기들에게는 솜방망이를, 야당에는 쇠몽둥이를 휘두릅니다.
더 이상 검사 개인의 양심에 맡길 수 없습니다.
헌법과 법률을 고칠 수밖에 없습니다.
검찰 개혁을 22대 국회에서 완성하겠습니다.
수사권을 회수해 국민께 돌려드리겠습니다.
더 나아가 노 대통령께서
이 땅에 심은 시민 민주주의의 나무를 튼튼히 키우고,
복지국가를 위해 사회권을 강화하고,
지방분권을 실현하기 위하여 저와 조국혁신당은 뛰겠습니다.
우리 마음의 영원한 대통령님! '노짱'!
영면하십시오.
 
2024년 5월 23일. 조국혁신당 대표 조국.
#노무현 #조국 #검찰개혁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100개 눈 은둔자' 표범장지뱀, 사는 곳에서 쫓겨난다
  3. 3 카자흐스탄 언론 "김 여사 동안 외모 비결은 성형"
  4. 4 최재영 목사 "난 외국인 맞다, 하지만 권익위 답변은 궤변"
  5. 5 한국의 당뇨병 입원율이 높은 이유...다른 나라와 이게 달랐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