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우리 쌀은 일본 식민 상태 그대로"... 이 농장의 고군분투

[함양 농업에 토종종자 생태계 마련하기 5] 토종쌀, 판매를 통해 지켜나가는 우보농장

등록 2024.06.25 10:07수정 2024.06.25 10:07
1
원고료로 응원
토종종자는 오랫동안 농민들의 손에 의해 최소 30년 이상 이 땅에 심겨진 종자를 말한다. 매년 심겨지며 조금씩 그 땅의 생태계에 맞춰서 적응해 온 토종종자는 우리 삶의 터전과 유기적으로 공명하는 존재이자 농민들이 세대를 거듭하며 만들어낸 하나의 문화유산이다.

최근 유전자변형 농수산물(GMO)과 종자주권 등의 이유로 이미 많이 주목받은 토종종자가 이상기후로 인한 기후위기 속에서 다시 한 번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역 풍토에 맞는 다양성 확보를 통해 병해충 및 환경변화에서 생존율이 뛰어난 토종농작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함양군은 농업이 주요 생산기반인 지역으로 농업계획이 중요하다. 경상남도를 통해 함양군도 토종농산물 소득보전 직불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저변확대에 한계가 있다. 농업 문화유산인 토종종자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토종종자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이 만든 토종종자 생태계를 알아보고 함양농업의 미래를 고민해본다. 지난 5월 31일 우보농장 이근이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 기자 말

 
a

우보농장 이근이 대표. ⓒ 주간함양

 
사라진 토종쌀, 보존이 아닌 복원!

"다른 토종과 다르게 토종벼는 성격이 아주 달라요. 다른 토종은 수집해서 보존한다고 하지만 토종벼는 사라진 것을 복원하는 방식이 돼버린 거야. 일제 강점기 때 거의 다 사라져버린 토종벼가 종자로서만 유전자원센터 냉동고에 450점 있었던 거지. 그러니까 일반인도 모르고 토종을 이어가는 사람들도 몰랐던 거지. 그게 토종씨드림 초창기를 이끈 안완식 박사를 통해서 세상에 나오게 된 거죠."

책 <조선도품종일람>은 일제 통감부가 1906년 농축산 기술 발달 및 종자개량을 목적으로 설치한 권업모범장에서 1911년에서 1913년에 걸쳐 조선의 모든 벼 품종을 수집 조사한 내용을 엮은 자료집이다. 책은 논 메벼 876종, 논 찰벼 383종, 밭 메벼 117종, 밭 찰벼 75종 등 우리나라 토종벼 총 1451종을 소개했다.

농촌진흥청 조사에 따르면 토종벼 재배면적은 1912년 전체 벼 생산 면적의 97%였으나, 10년 조금 지난 1923년에는 33%, 1928년에는 22%로 급감했다. 생산량이 높은 개량종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일제로부터 해방된 1945년 무렵에는 실질적으로 소멸했다. 지금 현재 나오는 모든 개량벼는 전부 일본벼를 원종으로 계보를 만들어가는 쌀들이다. 고시히카리, 참드림, 밀크퀸 등 전부 일본벼를 뿌리로 둔다.

"지금 우리 식탁의 쌀은 전부 일본 식민 상태 그대로예요. 왜냐면 원종 자체를 일본 원종으로 다 개량했기 때문에 지금도 고양의 가와지쌀도 그렇고 전부 일본 원종이에요."

가와지볍씨는 1992년 고양시 가와지마을 유적에서 발굴된 5020년 된 볍씨로 이 유물을 중심으로 한반도 농경문화의 시작을 알 수 있기에 가치가 높다. 이런 역사적으로 중요한 이야기의 스토리텔링으로 만들어진 고양 가와지쌀이 사실 일본쌀 품종을 원종으로 한다는 건 상당히 큰 충격이다.

"아끼바리와 고시히카리를 몰아내자고 경기도권에서 가져온 게 참드림인데 참드림도 전형적인 일본 품종을 원종으로 하는 쌀이거든요. 그러니까 토종 원종을 이용해서 한 품종이 하나도 없다는 얘기야.

토종쌀이 450종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1910년에서 1945년 사이에 완벽하게 소멸돼 없어져버린 거예요. 키우지 않은 거죠. 70살, 80살 되신 분도 잘 몰라요. 알더라도 다마금 품종이지. 다마금도 일본 품종이에요. 그걸 토종으로 알고 있어요. 이거 보면 여전히 우리 식탁의 쌀은 일본 식민 상태로 있구나 하는 거죠."


그런 가운데 이근이 대표의 우보농장에선 100여 품종의 토종벼가 자라고 있다. 토종벼는 한반도 전역에서 수천 수백 년을 함께하며 각 지역과 토양,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그만큼 종류도 다양하다. 지역 이름을 딴 것도 있고 동물 이름을 딴 것도 있다. 생김새나 쓰임새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 족제비의 털처럼 생긴 족제비찰. 낟알이 까투리의 깃털하고 똑같이 생긴 까투리찰. 한가위 때 먹었던 가위찰.

이렇게 쓰임새와 스토리, 그리고 지역성이 있기 때문에 토종벼 재배를 위해 찾아오는 농부들에게는 지역에 따라 품종을 권장한다.

"<조선도품종일람>에 당시 어떤 지역에서 어떤 품종을 경작했는지 다 기록돼 있어요. 그러니까 그런 품종을 우선으로 추천을 하고요. 북한에서 심었던 벼들은 북한에 전달할 수 없으니까 모두에게 권하고 그런 식이에요. 그렇게 퍼뜨리기 시작한 거죠."

'전국토종벼농부들'을 아십니까

전국토종벼농부들은 이근이 대표가 씨앗을 받아간 사람들과의 네트워킹을 위해 조직한 단체다. 매년 토종벼와 관련한 다양한 행사를 한 제8회 전국토종벼농부대회의 주제는 '토종쌀과 막걸리'였다. 심포지엄도 열고 다양한 분야의 발표도 진행된다. 유료로 진행하지만 매번 평균 200명이 모일 정도로 핫하다. 전국에서 모이는 다양한 품종의 토종쌀 만남의 기회는 덤이다.

"저는 항상 토종쌀로 술을 빚는 걸 되게 중요하게 여겨요. 우리 전통주는 토종쌀로 했을 거 아니에요? 과거에는 자기 지역에 쌀이 달랐잖아. 그럼 쌀이 다르면 술맛이 다른 거죠. 발효의 핵심인 누룩균도 지역마다 다 달라요. 거기에 물 다르죠, 손맛 다르죠. 그러니 토종벼가 1451종 있을 때 1910년 당시 주막이 37만5700개였어요. 그렇게 많은 주막에서 빚었던 게 전통주고 막걸리였죠.

우리나라는 어마어마한 술의 나라였던 거예요. 그런데 그게 토종쌀과 함께 다 사라져버린 거지. 쌀이 사라지고 우리 토종쌀도 사라지고 누룩이라고 하는 방식에서 입국이라고 하는 일본식 술이 되면서 모든 게 다 사라져버린 거죠."


제8회 전국토종벼농부대회 포스터 초대의 말에서 "일제 강점기에 사라져서 아직까지 복원되지 못하고 잊혀져 간 두 가지가 있다면 마을마다 빚었던 가양주 문화와 지역마다 다른 벼를 심었던 토종벼"라며 "지역마다 다른 품종의 쌀로 빚은 다양한 막걸리가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 우리나라는 단연코 쌀의 나라이자 술의 나라였다는 사실을 한 번쯤 기억해보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사명감? 나는 내가 가능성을 보고 하는 거예요"
 
a

우보농장. ⓒ 주간함양

 
일본 원종의 개량벼는 긴보즈(은방주)와 아끼바리(추청)를 이어 고시히카리(월광)로 넘어가 최근 가장 각광을 받는 품종인 밀크퀸에 도착했다. 밀크퀸은 일본 품종이기 때문에 당연히 일본에 로열티를 주면서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고 있다.

우보농장이 있는 고양 덕양구 벽제동에는 벽제농협이 있다. 벽제농협에서도 밀크퀸을 고민하고 있었고 그 시기에 이근이 대표는 벽제농협에 토종쌀 경작을 추천하며 농협에서는 블라인드 테스트 장이 열렸다. 가와지쌀, 밀크퀸, 아끼바리, 참드림 그리고 토종쌀 귀도까지 총 다섯가지 쌀을 평가했는데 압도적인 차이로 토종쌀 귀도가 1등을 차지했다.

"아, 당연히 맛있으니까 추천하지. 제가 지금 팔고 있는데 미슐랭 레스토랑에도 들어가고 신라호텔에도 들어가고 있는 품종이에요."

원종이 개량종을 품질로 이긴 사례이자 토종이 일본종을 이긴 사례다. 이후 벽제농협은 2024년 초 귀도를 대량으로 심었다. 농부 개인 단위나 토종 모임 단위로만 이어지던 토종쌀 농사가 처음으로 농협 규모로 이뤄졌다.

"맛에 대한 인정. 벽제농협의 사례가 그거죠. 그 외에 신라호텔에도 귀도를 포함한 4종의 쌀이 들어가고 있어요. 신라호텔 셰프들이 깐깐하게 보면서 다 테스팅해서 고른 거거든. 실제로 셰프들이 모내기도 보고 벼 베기 행사도 참여하면서 토종쌀에 대한 스토리를 음식에 입힌 거죠. 유기농법으로 쌀을 만드는 것까지 전부다요."

벽제농협의 사례 이전 지난 3년 동안은 지자체와 연구 협력 개념으로 지역의 농부가 토종쌀을 심으면 지자체가 수매를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 됐다. 하지만 이 방식도 한계가 많다. 수매를 약속한 양평군에서 수매를 거절한 것이다. 군수가 바뀌면서 일어난 사건이다. 별 수 없이 이근이 대표는 자신이 남은 양 수매를 진행했다.

"군수가 바뀌면서 약속한 양의 절반은 수매를 안 하겠다고 해서 내가 수매를 했어요. 어쩔 수 없이."

쌀 수매로 팔면 킬로그램당 1500원에서 2000원의 값을 받는다. 2000평에서 나온 쌀 2톤을 팔면 300만 원에서 400만 원이 나온다.

"이거 팔아서 무슨 생태유기농업을 하고 내 종자권을 가지고 토종벼를 키우면서 싸우겠어. 말이 안 되는 거지. 할 수가 없어요. 그래서 난 못해도 킬로그램당 4000원은 돼야 된다고 주장했어요. 그래서 저는 양평의 농부들에게 4000원을 지불한 거예요. 지금 다니는 여주 농부들한테도 4000원을 지불하겠다고 얘기 한 거예요.

그렇게 도정을 하고 유통을 하고 판매를 담당해주는 중간 매개인 내가 있는 거예요. 내가 셰프나 양조장 등 거래를 해왔으니 그런 관계를 통해 판매를 할 수 있는 거죠. 그렇게 제가 도정을 하고 유통, 저온창고 비용, 인건비 다 포함하면 토종쌀 킬로그램당 1만2000원. 이건 얄짤 없어. 그래서 내 가격이 1만2000원이에요. 양조장에서 대량으로 가져간다고 하면 최저 마지노선을 8000원으로 계산했어요. 그러니까 적어도 이 가격은 받아야 농부로서 농업을 할 수 있는 거예요."


가격을 정하는 기준마저 '어떻게 하면 농부들이 자기 종자를 가지고 생태적으로 키울 수 있을까?'를 고민한 이근이 대표. 토종쌀이 전국에 안정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게 자신의 일이라고 설명했다.

다양한 스토리를 갖고 있는 토종쌀. 토종쌀이 품은 이야기는 우리 삶의 터전과 닿아있어서 더 재밌다. 단절된 토종쌀의 전통을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는 우보농장과 이근이 대표는 올해 막걸리 양조장과 협업을 준비중이다. 토종쌀로 만들어진 막걸리는 또 어떻게 다른지 앞으로 우보농장의 활동이 흥미진진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함양뉴스 (최학수PD)에도 실렸습니다.
#우보농장 #토종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AD

AD

AD

인기기사

  1. 1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2. 2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3. 3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4. 4 10년 만에 8개 발전소... 1115명이 돈도 안 받고 만든 기적
  5. 5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