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가 17일 서울 강남구 아이파크타워에서 열린 제18회 포니정 혁신상 시상식에서 수상 소감을 말하고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요즘 대한민국 국민들은 행복합니다. 작가 한강이 노벨상을 수상했다는 감흥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노벨 평화상 이후 대한민국 두 번째 노벨상인데, 노벨문학상의 의미는 세계인들이 한강의 작품에 감동을 받았고, 또 역사를 대하는 한강의 시각을 높이 평가했다는 징표입니다.
인터뷰에 응한 한 노벨상 심사위원은 한강의 작품중 <소년이 온다>를 가장 감동적으로 읽었다고 합니다. 또 작가 한강은 자신의 작품을 처음 시작하는 독자라면 <작별하지 않는다>부터 읽어볼 것을 권합니다.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작별하지 않는다>는 1948년 제주 4.3을 다룬 역사 다큐멘터리같은 소설입니다.
광주 5.18과 제주 4.3은 국가폭력이 낳은 대한민국의 비극으로 역사 해석에 대한 논란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국가폭력이 그 나라의 국민을 대규모로 희생시킨 사건이라는 점, 무소불위의 국가폭력 앞에 힘없이 무너져가는 연약한 인간의 삶에 주목했다는 것입니다. 스웨덴 한림원은 한강의 작품을 "역사적 트라우마에 저항하며 인간 생의 연약함을 시적인 산문으로 표현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필자가 한강의 노벨상 수상에 벅찬 감동을 받는 이유는 작가가 보인 역사에 대한 일관된 비판적 통찰입니다.
비판적 사고는 늘 높게 평가되지만, 현실에서 비판은 많은 것을 희생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언론에서 자본이나 권력에 대한 비판이 실종된 것에서도 잘 알 수 있습니다. 언론의 생명은 바로 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국민의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보도하는 것인데, 요즘 비판적인 언론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받아쓰기 저널리즘', '따옴표 저널리즘'이 대세가 됐습니다.
저널리즘의 원칙인 사실을 보도하면 되기 때문에 사실에 천착합니다. 누군가 거짓을 말해도 언론은 그 누군가의 말을 인용해 거짓을 전합니다. 그러면서 당당합니다. 누군가가 말한 그 내용이 사실과 다를지라도 나는 누군가의 말을 사실대로 인용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 요즘의 언론보도입니다.
그러면서 언론이 갖춰야 할 비판성을 내려놨습니다. 국가적으로 많은 사건이 발생했지만, 한 번도 언론이 국민의 편에서 국민들의 입이 된 적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언론은 늘 자본과 권력의 편에 섰고, 언론이 자본과 권력과 함께할 때 언론인들은 힘들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비판성을 지킬 때 언론인들은 비판성의 책임을 져야했습니다. 그렇게 언론은 작아지는 길을 택한 것 같습니다.
미디어를 전공하는 필자는 한강의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너무 기뻤지만, 또 한편 초라해졌습니다. 언론에서는 권력과 자본에 대한 비판이 사라진 지 오래인데, 작가 한강은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어 국가폭력의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했습니다. 그리고 국가폭력에 무너져 내리는 인간의 연약한 삶을 보듬어줬습니다. 국가폭력은 언제나 정당화되고, 국가폭력을 거부하지 못하는 국민은 죄인이 됩니다. 그러나 중요한 순간에 언론은 목소리를 내지 않았습니다. 모른 척 침묵합니다. 오늘날 언론은 권력과 자본의 하수인으로 전락한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