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4일 기념탑1973년 10월 14일 발생한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탑이다.
여경수
1971년 다시 군사정변으로 의회가 해산된다. 하지만 1973년 태국에서는 10월 민주화 운동으로 군부정권이 붕괴된다. 태국에서 10월 민주화 운동의 결과물로는 1974년도에는 헌법의 개정이 이루어진다. 특히 1974년 헌법상 정당제도가 마련되며, 정치적 활동의 자유가 실질적으로 보장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태국정치에서 다시 문민정부가 등장했다.
그럼에도 1976년 10월 6일에는 탐마삿 대학교에서 민주의의를 열망하던 이들이 태국의 군부와 극우인사들로부터 학살당했다. 군부는 다시 군사정변을 감행했다. 이로써 태국에서는 다시 권위적인 헌정체제로 전환되었다.
1991년 군사정변이 발생했지만, 이듬해인 1992년 태국의 <5월 민주화 운동>으로 군부정권이 붕괴된다. 한편 1996년 헌법초안회의가 구성되며, 헌법초안회의는 민선 상원의 구성, 지방 분권, 군부의 영향력 축소를 담은 헌법초안을 마련했다. 특히 국가 작용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국가 기관에 대한 통제에 관한 제도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현행 태국의 헌법은 2017년에 다시 개정되어 지금까지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19년 3.1혁명으로 성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민주공화국을 지향했다. 태국의 경우에는 1932년 헌법의 제정을 통해서 전제군주국에서 입헌군주국으로의 전환된다. 또한 태국의 헌정사를 살펴보면, 지난 <1973년 10월 민주화 운동>과 <1992년의 5월 민주화 운동>의 결과물로 1973년 헌법과 1997년 헌법의 개정을 쟁취했다.
특히 태국과 우리나라의 민주화운동은 시간의 흐름이 비슷하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60년 4.19의거>, <1980년 5.18민주화운동>, <1987년 6월 민주화운동>의 성취로 우리나라의 헌정질서는 더욱 성숙해졌다. 또한 우리나라의 헌정사에서는 1960년 헌법과 1987년 헌법의 경우에는 이러한 민주화운동의 결과물로 평가된다.
태국에서는 오늘날까지 빈번한 군사정변이 발생했지만, 그에 못지않게 태국의 시민들은 의회선거마다 군부를 대변하는 정당을 심판했다. 태국과 우리나라의 성숙한 헌정질서의 확립이 서로간의 연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내게 힘이 되는 생활 헌법(좋은땅 출판사) 저자, 헌법 연구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