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창 동상
김현자
안보·외교·경제·정치·의료·검찰·사법·방송 등 어느 한 분야도 멀쩡한 곳이 없다. 국가기강이 무너지고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 속물들이 주요기관의 수장이 되어 나라를 위기로 내몬다.
공동체의 준거인 '공정과 상식'이 사병화된 검객들의 칼날에 난도질당하고,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은 친일·반민주 뉴라이트 호위무사들에 의해 짓밟힌다. 국민의 피땀으로 어렵살이 선진국의 문턱에 이르렀는가 싶더니 한 순간 와르르 무너져가는 형국이다.
북녘의 동족에 대해서는 증오와 적대시가 깊어지고 일본에는 과거의 죄상을 덮어준다. 독립운동가는 소외되고 친일파는 떠받든다. 독재자 이승만의 기념관 짓기, 박정희의 동상 세우기가 가시화단계다.
국가(나라)라는 공동체는 공유하는 사상(정신)이 있음으로 하여 유지 발전한다. 우리의 경우 1895년 일본군 수비대와 낭인들이 범궐하여 민비를 살해한 을미사변으로부터 해방까지 50여 년의 항일독립운동과 1945년 해방에서 지금까지 80여 년의 민주화운동이다. 덧붙여 민족에는 자주가, 민주에는 공화의 가치와 명제가 함께한다.
일제강점기 수많은 선열이 민족을 위해 몸을 던졌다. 이분들을 의열사(義烈士)라 부른다. 자진·절식·음독, 그리고 왜적에 의해 사형·고문·암살·납치 등으로 목숨을 잃었다. 또한 독재정권과 부패권력에 맞서 많은 민주인사들이 민주제단에 몸을 바쳤다. 민주열사·노동열사·통일열사라 호칭한다. 이분들 역시 분신·단식·자결·투신·사법살인·행불·고문 등으로 생명을 잃었다.
한말 의병대장 유인석(1842~1915)은 민족수난기에 선비들의 처신의 규범으로 '처변삼사(處變三事)'를 제시하였다. 의병을 일으켜 일제를 축출하는 거의소청(擧義掃淸), 해외로 망명하여 대의를 지키는 거지수구(去之守舊), 의리를 간직한 채 치명(致命)하는 자정수지(自靖遂志)의 세 가지 행동 방안이다. 풀이하면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우거나, 여의치 않으면 해외로 나가 독립운동을 하거나. 이 역시 어려우면 왜적에 옥죄어 살지 말고 스스로 자진하라는 뜻이다.
일제의 침략으로 국망의 위기에 처한 조선(대한제국)의 지식인들은 민족의식(민족주의)이 충만해 있었다. 흔히 민족주의는 같은 종족, 같은 언어, 같은 문자, 같은 습속의 사람들이 일정 지역을 점거하여 서로 동포·동족으로 여겨 함께 독립과 자치를 통해 공익을 도모하고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는 주의·사상으로 정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