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야삼촌> 표지다리미디어
"삼촌이 별안간 손길을 멈추고 하늘을 올려다본다. 빈 하늘이다. 그런데도 무언가를 보는 듯 눈꼬리가 흔들린다. 무엇을 보고 있을까. 치매가 온 뒤 자주 가서 머무는 곳, 거기서 만나는 사람은 누구일까. 이미 자기 인생을 돌아볼 능력조차 잃은 사람에게도 과거는 자락자락 찾아와 그에게 환영처럼 되비춰주는 것일까. 거기에 어린 내가 있었던 것일까. 누님이 던지고 간 아이, 울며 엄마를 찾던 아이, 그 아이를 달래고 어루어야 할 열다섯 살 소년의 의무감..."
문단에서 누구에게나 누님, 혹은 통뼈(?)로 통하는 작가가 윤정모다. 짤닥막한 키에 부리부리한 눈매는 마치 먹이를 찾아 어슬렁거리는 조선의 토종 호랑이 같다. 여성작가인 윤정모에게 이 같은 강렬한 수식어를 붙일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작가의 마당발 같은 맹렬한 활동 때문이다.
윤정모는 소위 행동하는(?) 작가이다. 민가협, 유가협, 정대협 등등 웬만한 인권단체나 여성단체부터 학생운동, 노동현장에 이르기까지 윤정모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 윤정모에게 있어서 허울 좋은 말이나 논리정연한 글은 차라리 사치에 가깝다. 그만큼 윤정모는 현장에서 모든 것을 보고 듣고 느끼는 작가라는 것이다.
그런 윤정모가 한때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 이유는 꼭 한 가지, 딸의 공부를 위해서. 그렇게 강하게만 느껴지던 윤정모 역시 자식을 끔찍이도 사랑하는 어머니일 수밖에 없었다. 오로지 자식의 뒷바라지를 위해 영국으로 건너가 온갖 어려움을 겪었던 어머니 윤정모. 그리고 아내라는 이름 앞에 던져진 뼈아픈 시련. 비바람에 시달린 뒤에 더욱 아름다운 꽃이 피어난다고 했는가.
그랬다. 지난 해 여자로서는 차마 드러낼 수 없는 비극적 개인사를 차분하게 고백함으로써 세인들에게 충격을 주었던 작가 윤정모, 그 윤정모가 <슬픈 아일랜드> 이후 3년만에 쓴 신작 장편소설 <꾸야삼촌> (다리미디어, 8000원)을 펴냈다.
<꾸야삼촌>은 한국전쟁에서 IMF까지의 격동기를 살아낸 모녀의 이야기와 더불어 전쟁으로 일그러진 삶 속에서도 끝내 순박한 사랑을 간직해 낸 한 남자를 통해 간절한 생명력의 의미를 부각시킨 장편소설이다.
<꾸야삼촌>은 모두 15부로 구성되어 있다. 불청객, 전쟁과 아이, 외삼촌들, 나를 미행해 온 전쟁, 소년의 전쟁, 나우리, 기회를 잡는 방식, 아버지와 아들, 찬우 동우, 그늘도 깊어라, 형벌도 삶의 대가, 흐르고 멈추는 물결, 찬우의 선언, 몰락의 절차, 사랑 찾아가시나요, 등이 그것들이다.
이 책은 한국전쟁 중에 피난간 외가에서 주인공을 업어 키웠던 꾸야 삼촌, 그 꾸야삼촌이 어느날 불청객이 되어 불쑥 주인공의 집에 나타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하지만 꾸야삼촌은 예전의 정이 철철 넘쳐 흐르던 그 꾸야삼촌이 아니다. 꾸야삼촌은 이제 60대의 치매 노인이 되어 주인공의 집에 잠시 맡겨진 것이다. 그것도 주인공이 파탄 직전에 있는 상태에서.
주인공 '나'의 남편은 현재 사업 부도로 교도소에 들어가 있고, 연이어 대학에 떨어진 4수생 아들이 있는 주인공 '나'에게 있어서는 꾸야삼촌을 받아들일 만한 조금의 틈도 없다. 주인공 '나'는 처음에는 치매에 걸린 꾸야삼촌의 출현에 분통을 터뜨린다.
그러나 주인공 '나'는 끝내 꾸야삼촌을 내치지 못한다. 왜냐하면 꾸야삼촌은 어린 시절 한국전쟁을 피해 외가로 내려온 주인공 '나'를 따스하게 보살펴 주었던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그래, 이 사람은 내 삶의 한 부분을 이어준 사람이다. 혼자서는 자랄 수 없는 어린 나무에 물과 사랑의 퇴비를 준 사람이다. 따라서 이 사람은 나에게 불청객이 될 수 없다. 어느 순간 어떤 식으로 찾아오든 나로부터 거부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세월이 변화시킬 수 없는 관계, 그래, 내 부모와 같은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