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외할머니 댁으로 가는 풍경과 꼭 닮은 논둑길이종찬
그때가 아마도 내 나이 열 살 남짓했을 때였을 거야. 1960년대 끝 무렵이었으니까.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먹을 게 그리 흔하지 않았지. 게다가 부모님께서 농사를 지었으니까 돈이란 것은 구경조차 하기 어려운 때였고. 그러니까 그때는 군것질이라는 단어 자체를 아예 몰랐을 때야.
게다가 지금처럼 하얀 쌀밥은 구경조차 제대로 할 수가 없었어. 끼니 때마다 시커먼 꽁보리밥을 물에 말아서 먹었으니까. 하지만 한창 자라나는 우리들로서는 꽁보리밥 한 그릇만 가지고는 배고픔을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어. 밥상을 물리고 방귀 한대 뿡 뀌고 나면 이내 배에서 꼬르륵, 하는 소리가 났으니까.
그래서 우리들은 끼니 때마다 할아버지의 밥상을 넘보곤 했어. 왜냐구? 할아버지의 밥상 위에는 늘 하얀 쌀밥과 생선 한 토막이 놓여 있었거든. 그리고 할아버지께서는 늘 쌀밥 반 그릇과 생선 반 토막을 남겼어. 지금 가만히 생각해보면 할아버지께서는 일부러 그랬던 것 같아. 시커먼 꽁보리밥을 입에 넣으면서도 자꾸만 곁눈짓을 하고 있는 우리들을 위해서 말이야.
"정지(부엌)에 뭐 묵을 꺼 좀 없더나?"
"아까 아침에 옴마(엄마)가 솥두껑에 찐 밀떡이 조깨(조금) 남아 있었는데, 새터때기(새터댁)가 와서 묵었다 아이가."
"새터때기가 뭔데 남의 떡을 훔쳐먹는데?"
"나중에 한 소쿠리 쪄준다 캄시로(하면서) 한 개도 안 남기고 다 묵어뿟다 아이가."
당시 우리들은 학교를 파하면 늘 도시락을 달그락거리며 상남다리를 건너 집으로 돌아오곤 했어. 그리고 제일 먼저 들어가는 곳이 부엌이었지. 뭔가 먹을 게 없는가 하고 말이야. 근데 그날은 어머니께서 아침에 쪄놓은 밀떡조차도 이웃에 사는 새터댁이 다 먹어버리고 말았다는 거야.
배는 계속 꼬르륵거리고 어떻게 하겠어. 가까운 외할머니 댁으로 가는 수밖에. 외할머니 댁은 둑길을 따라 10여 분 남짓 걸어가야 했어. 미나리꽝을 지나 모가 시퍼렇게 자라는 논길을 따라 걸어가면 끄트머리에 징검다리가 놓인 시내가 하나 있어. 그 시내는 비음산과 봉림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합쳐지는 곳이기도 했고.
그렇게 합쳐진 시내는 외할머니께서 사는 마을을 가로질러 흘러내렸어. 그러다가 외할머니 마을과 봉암 앞바다 중간쯤에서 남면벌을 가로지르고 달려온 시내와 합쳐져 큰 강을 이루며 마산 앞바다로 흘러내렸어. 그 강 이름이 남천이야. 남천에는 은어떼와 잉어, 붕어가 참 많았어. 그래서 우리들은 여름방학이 되면 남천으로 가끔 낚시를 하러 가기도 했고.
"혹시 외할매가 오데(어디) 가시고 집에 안 계시모 우짜지?"
"괘않타. 그때 외할매가 이래 안 카더나. 혹시 할매가 없으모 정지에 들어가서 솥두껑을 열어보라꼬."
"그래도 외할매가 계셔야 할낀데."
"와? 또 외할매가 주는 그 눈깔사탕이 묵고 싶나?"
그날도 우리들은 외할머니께서 삶아주던 그 맛있는 감자를 떠올리며 징검다리를 향해 열심히 걸어갔어. 근데 이를 어째. 외할머니와 우리들을 이어주는 오작교 같은 역할을 했던 그 징검다리가 보이지 않는 거야. 그리고 그 징검다리가 있었던 자리에는 벌건 황토물이 콸콸콸 소리를 내며 뱀장어처럼 요동치고 있었어.
그래. 삶은 감자 먹을 생각에 빠져 그만 깜빡 잊고 있었던 거야. 어제 진종일 장맛비가 내렸다는 것을 말이야. 어쩌겠어. 외할머니 집을 코 앞에 두고도 그냥 뒤돌아서서 들판을 터덜터덜 걸어 집으로 돌아오는 수밖에. 그때 멀리서 외할머니의 갈라지는 목소리가 들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