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다음
이에 미디어 다음에서는 '국제대회 앞두고 노점상 단속 논란' 이라는 주제 아래 네티즌들의 찬반 의견을 조사하고 있다. 그 결과 5473명 가운데 58.8%(3217명)가 '노점상 생계를 위협하는 건 부당하다' 고 했으며, 34.9%(1910명)가 불법 노점상 단속의 당연함을 지지하고 6.3%(346명)가 기타의견을 차지했다.
더불어 서울시도 6월 16일부터 홈페이지 사이버 토론방을 통해 '길거리 불법노점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아직 정확히 집계가 되지 않았지만 187건의 게시물 가운데 대략54% 정도가 노점상 단속에 반대표를 던지며 '공생' 의 의견을 제시했다.
60년대 이후 이농민들에 의해 생긴 도시 빈민층의 생계 수단으로 선택 할 수밖에 없었던 노점상은 97년 IMF이후 급증하며 한국의 사회·경제 상황과 운명을 같이했다. 특별한 기술이나 자본이 없는 영세 빈민층에게 노점은 최소한의 생계를 꾸려가게 해준 생활 수단이었던 것이다.
그후 당국의 계속된 단속에도 불구하고 노점상은 점점 더 늘어만 갔다. 이는 단순히 '법' 만으로 집행 할 수 없는 노점상의 사회적 존재 이유가 꾸준히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앞서 두 설문 조사가 보여주듯 서민들이 노점상을 일상의 한 문화로 인정하며 그에 따른 수요를 창출해 내고 있는 것도 간과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지난 6월 한국을 방문한 국제노점상연합 활동가 팻 호른(52)씨는 "세계 은행(IBRD)을 비롯한 국제금융기구들이 더 이상 노점 단속을 각국 정부에 주문하지 않고 있어요. 국제금융기구들이 노점상을 동정해서 그렇겠습니까?" 라며 "노점상이 생계를 이어갈 다른 수단이 없는 상황에서 노점상 단속은 시간과 에너지 낭비일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기 때문이입다" 라고 한겨레신문을 통해 전했다.
또 그는 "노점 단속을 강화해봐야 노점상인 수는 줄지 않아요. 잠시 단속을 피했다 다시 돌아옵니다. 다른 직업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죠”라며 노점상에 대한 근본 대책 없이 그저 단속 대상으로만 보는 한국의 현실에 안타까워했다.
같이 방문한 인도노점상연합 활동가 비네쉬 쿠마자(31)씨 또한 "한국 정부가 노점을 금지한다면 노점상 100만 명과 그 가족들의 생계를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반면, 노점상을 양성화해 1인당 1달러씩만 세금으로 받아도 100만 달러를 정부가 거둬들일 수 있다”며 "여기에 노점 단속에 드는 비용까지 생각하면 노점을 합법화하는 게 훨씬 큰 이익이다" 고 한겨례를 통해 밝힌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