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문제,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대화기구 명칭과 인원수 합의, 다음주 본격 가동될 듯

등록 2003.10.15 23:41수정 2003.10.22 12:10
0
원고료로 응원
a

14일 81일째 촛불시위 ⓒ 부안핵대책위

정부와 부안 핵대책위가 지난 14일 서울에서 2차 실무회의를 갖고 대화기구 명칭을 ‘부안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공동위원회’로 합의했다. 본 대화기구에 참여할 인원도 정부측 5인, 부안대책위측 5인, 중재자 3인 총 13명으로 확정했다.

하지만 본 대화기구의 양측 인원 구성을 둘러싸고 진통을 겪고 있다. 정부측은 협상대표로 수배된 사람을 협상 당사자로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며, 부안대책위는 전라북도와 부안군청은 협상대표로 불가하다는 이견을 보여 좀처럼 합의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5인 실무회의의 중재역할을 맡고 있는 환경운동연합 최열 대표의 중재안에 따라 다음주 정도에는 본 대화기구가 구성돼 본격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부안군민, 82일째 촛불시위 계속-군의원 등원거부

부안핵폐기장 문제가 대화국면으로 들어간 가운데에도, 핵폐기장 유치 전면철회를 요구하는 부안 군민들의 투쟁의 의지는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백지화' 될 때까지 계속 진행한다는 방침인 부안 수협 앞 촛불집회는 농번기에도 불구하고 82일째 진행되고 있으며, 대책위는 실무자들이 마을을 순회하면서 대화 진행상황을 보고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지난달 '핵폐기장 백지화와 김종규 부안군수 퇴진'을 촉구하는 등원거부를 결의했던 부안군 의원들도 오는 18일부터 열흘간 열리는 부안군의회 임시회에도 전체 의원 13명 중 10명이 등원을 거부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히기도 했다.

경찰병력, 단계적으로 철수하려나

한편, 대화국면과 부안군민들의 평화시위에도 불구하고 부안군에는 40개중대 4천여명 전·의경 병력이 여전히 배치돼 있어 주민들의 불만을 증폭시킨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전경들이 길거리 곳곳에 배치되어 심리적인 부담을 주는 것과 함께, 전경들의 식사조달로 인해 읍내 시장의 물가가 오르는 등 폐해가 눈에 띄게 드러나고 있다는 게 주민들의 불만이다.

병력철수 문제에 대해 전북지방경찰청 관계자는 "현재 전국체전으로 7천여명의 병력 중 3천여명이 전주로 배치돼, 부안에는 4천여명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정확한 계획을 밝힐 수는 없지만 단계적으로 철수하고 있는 중"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원룸 '분리수거장' 요청하자 돌아온 집주인의 황당 답변
  2. 2 나이 들면 어디서 살까... 60, 70대가 이구동성으로 외친 것
  3. 3 "걷기 싫으니 버스 탑니다, 어차피 무제한이잖아요"
  4. 4 이렇게 어렵게 출제할 거면 영어 절대평가 왜 하나
  5. 5 궁지 몰린 윤 대통령, 개인 위해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나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