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들길에서나 볼 수있는 강아지 풀. 이삭이 있는 쪽이 굵어 메뚜기를 꿰는데 안성마춤이다.김훈욱
메뚜기를 잡는 것도 기술이 필요한데, 메뚜기를 잡을 때 한쪽 다리만 잡으면 자신의 다리를 잘라 버리고 도망가는 경우가 있어 다리를 잡을 때는 꼭 두 다리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 그리고 메뚜기를 잡을 때 가장 기분이 좋은 것은 암수 한 쌍을 동시에 잡는 것이다. 한 쌍이 함께 있는 메뚜기는 날지 못해 잡기 쉬울 뿐만 아니라 한번에 두 마리를 잡으니 일석이조가 되기 때문이다.
당시는 그런 한 쌍의 메뚜기를 잡으면 기분이 좋았지 왜 메뚜기들이 잡힐 위기가 닥쳐도 서로 떨어져 도망가지 않는지 아니면 얼마나 오랫동안 그런 상태로 지내는지에 대한 관심이 없었다.
위에 실린 사진과 같이 덩치 큰 암놈이 작은 수놈을 업고 있는 메뚜기 한 쌍을 발견한 것은 늦가을 이른 아침이었다. 우연히 아침 산책을 나갔다가 메뚜기를 발견하고 사진을 찍었는데,그 이튿날 비슷한 시간에 다시 그 곳에 갔을 때도 메뚜기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었다.
가을이라고는 하지만 밤 시간에는 제법 쌀쌀한 날씨라 상당한 추위를 느꼈을 텐데 밤이슬을 맞으며 하루 이상을 그 자리에서 꼼짝 않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하찮은 미물이라고 여기는 메뚜기도 종족 번식을 위해서는 다른 동물들의 위협과 찬 이슬을 몸으로 막아 내는 숭고한 희생을 감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암놈메뚜기는 어떻게 구멍을 뚫는지 모르겠으나 주름이 있는 꽁지로 구멍을 판 후 꽁지를 길게 늘려 땅속에 넣고 알을 낳는다. 어릴 적에는 이런 모습으로 땅에 붙어 있는 메뚜기는 전연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강제로 꽁무니를 땅에서 빼내어 버리는 장난을 한 적도 있었다.
전문가가 아니라서 자세한 과정은 기술할 수 없으나 이렇게 낳은 알은 겨울의 추위와 논두렁 태우기 등을 무사히 넘기고 이듬해 봄에 다시 태어나게 된다.
우리는 메뚜기도 한철이라고 비유하며 폄하하지만, 메뚜기도 짧은 기간이지만 다른 생물들처럼 수많은 위험을 모성애로 극복하는 고단한 삶의 끝에 후손을 번식하는 숭고한 임무를 완수하고 삶을 마감하는 것이 아닐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한국 사진작가협회 정회원이었으며, 아름다운 자연과 일반 관광으로 찾기 힘든 관광지,
현지의 풍습과 전통문화 등
여행에 관한 정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생활정보와 현지에서의 사업과 인.허가에 관한 상세 정보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