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20일8면매일신문
그리고 같은 날 8면에는 <10개월간 재건축도 올스톱 해제해도 전매 횟수는 제한>이란 큰 기사가 실렸는데 <대구 투기과열지구 해제 어떻게 되나>란 부제가 달려있습니다. 그런데 이 기사의 내용은 투기과열지구를 해제해야 한다는 논리로 가득 채워져 있습니다. 전체 86줄로 이루어진 기사 가운데 64줄(74.4%)을 이것에 할애하고 있습니다. 분양권 전매 허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서는 단 8줄만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19일 건설교통부의 투기과열지구 일부 해제 방침에 대해 "건설업체들은 "드디어 올 것이 왔다"며 환영하는 분위기 속에서 저마다 희색이 만면하다"는 업계의 표정을 전하는 것으로 시작된 이 기사는 지난해 11월17일 대구 전역이 투기과열지구로 묶인 "이후 … 투자자들이 가만히 앉아서 수천만 원의 재산손실을 입어야만 했"고 "특히 … 주택 및 건설 관련업종 대부분이 기진맥진하고 있는 실정이다"며 투기과열지구 해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는 "분양권 전매를 일부만 허용해도 투자세력을 분양시장에 끌어들여 … 그동안 숨죽인 주택분양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것이며 "이에 따라 건설경기가 되살아나면서 … 고용이 창출되는 것은 물론 관련업종 호황을 가져와 소비를 촉진하는 등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대구의 투기과열지구는 해제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8월21일치에는 3개의 관련 기사가 크게 실렸는데 1면 탑으로 실린 <불황 여파 세금이 안 걷힌다>에서는 "이는 부동산 경기의 위축으로 올해 입주 예정인 아파트 물량이 전년보다 줄고, 미분양 아파트도 계속 늘어난 때문(이다)"며 "대구시 지방세수의 41.1%를 차지하는 취득세와 등록세가 7월 말 현재…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4%나 감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같은 날 3면에는 통단 기사로 <실수요자 '꿈틀' 건설경기 '숨통' 기대>에서 투기지역 해제에 따른 "배경"과 "해제 기준" 그리고 "부동산 불안요인이 잠재"하고 있어 "부동산 정책 논란"이 있다는 것과 그래도 "주택안정 기조는 유지"한다는 정부의 태도를 비중 있게 다루었습니다. 그런데 전체적인 흐름은 여전히 건설 경기 부양 쪽에 맞추어져 있는데, 이번의 투기지역 해제에 대해 "애초에 탁상행정으로 지역의 현실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저지른 행정착오에 대해 정부 스스로가 뒤늦게라도 인정, 종전 상태로 돌려놓은 것으로 … 부동산시장의 분위기를 살리는데는 더할 나위 없는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