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복지전화네트워크의 상담원이 한 시민에게서 걸려온 문의전화를 받고 있다김창환
실례로 전셋집을 담보로 사채를 빌려 쓴 아버지가 갑자기 사망한 후, 집에서 나가야 하는 상황에 놓인 두 형제가 있었다.
“경제, 주거, 정서 등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기관의 연계 서비스가 필요했습니다.”
박은희 사무국장은 한국복지재단,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복지관,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등과 문제해결방안을 협의했고, 그 결과 한국복지재단에서는 전세금을 지원키로 하였고, 동사무소에는 생계지원을, 복지관에는 정서 및 가사 서비스를, 그리고 채권채무 등 법률문제는 시민단체에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어 아버지의 사망 후 생활이 막막했던 두 형제도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이외에도 상담내용은 다양해 약 두 달간의 시범운영기간 동안 복지전화네트워크의 상담내용을 분석해보면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한 시민이 35%, 치매노인 부양문제, 장애인 보호문제, 장애아동 치료문제, 소년소녀가장 주거문제, 노숙자 의료문제, 자원봉사를 요청하는 시각장애인 등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문의한 시민이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도 국민연금, 산재보험 등 사회보험과 관련된 문의가 있는가 하면, 노무, 채권채무, 임금체불 등 법률문제를 호소하는 시민 등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문제로 복지전화를 이용하고 있다.
복지전화는 사회복지서비스 정보구축 이외에도 사회문제 및 욕구 조사, 사회복지정보 간행물 발간 등의 사업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산복지전화네트워크는 미국의 사회복지 대표전화 “2-1-1”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하지만 복지전화가 정식 개통되기까지 남모를 우여곡절도 있었다. “처음에는 복지전화를 ‘여성의 전화’나 ‘생명의 전화’와 같은 서비스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기존에 우리에게 알려진 많은 상담전화가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상담전화가 각 분야의 전문훈련을 받은 상담원이 전화로 도움을 요청한 사람들에게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휴먼서비스라면, 복지전화네트워크는 문제는 있지만 어디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알지 못하는 시민들에게 적절한 복지서비스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여성문제, 가정폭력, 아동학대, 노인학대, 자살 등 위기에 처한 시민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담전화를 알려주는 것도 복지전화네트워크의 주된 역할이다.
“기존의 상담전화는 그 전문성을 더욱 살릴 수 있고, 기존 상담전화를 필요로 분들이 보다 많이 이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빈곤을 비롯한 사회복지 문제는 그 해결에 있어 기다림을 허락하진 않습니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안고 있는 일반 시민에게 오로지 최선을 다해 가장 신속하고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우리 사회의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사회복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구축하는 일일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얻게 될 가장 큰 성과는 복지서비스의 수요자인 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욕구가 파악되고 이에 맞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적극적으로 개발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복지전화의 개통으로 부산시민들은 그 동안 잘 알지 못해 활용하지 못했던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시민들도 사회복지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식하고,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창출하고 개선해 나가는 사회복지의 당당한 한 주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