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 우화소설 <개> 앞표지푸른숲
새 담배를 입에 물고, 피우던 담배의 남은 불로 불을 붙일 만큼 골초이므로 하루에 성냥개비가 하나 밖에 필요치 않았다고 하는 공초 오상순. 그는 어느 날 아이들 가르치러 학교에 출근하다가 개가 흘레하는 것을 발견하고 쭈그려 앉아 구경했다고 한다. 흘레하는 개를 돌멩이를 던져 쫓아버리는 단순한 사람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 암수가 엉덩이가 붙은 채 “깨갱” 하며 달아나는 모양이라니, 너무 가엾지 않은가. 거리에 풀어놓은 잡견이니 어차피 잡견인 것을, 뭐 어쩌겠는가.
한 가지 더, 엊그제 물리치료를 받으러 가는데 어느 식당 강아지 두 마리가 문 앞에 함께 있다가 작은 한 마리가 주저앉더니 실례를 했다. 한 쪽 다리를 들지 않은 걸로 보아서 암컷인 모양이었다. 그러고 부끄러운지 슬금슬금 식당 안으로 들어가 버렸고 다른 한 마리는 오줌 냄새를 맡더니 핥아먹기 시작했다. 그걸 먹어서는 안 된다는 교육이 특별히 안 되어 있다면 어쩔 수 없을 터, 그래서 그 광경을 바라보며 오히려 나는 자연스럽다고 생각했다. ‘개’답다고 생각했다. 아래, 개를 의인화하여 쓴 김훈의 경장편소설 <개>의 독백을 보자.
나는 어린 영수가 싼 똥을 먹은 적이 있었다. 나는 똥을 먹은 일이 조금도 부끄럽지 않다. 똥을 먹는다고 해서 똥개가 아니다. 도둑이 던져주는 고기를 먹는 개가 똥개다. 하지만 내가 똥을 자꾸 먹으면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기 때문에 이제는 똥을 먹지는 않는다. 먹고 싶을 때도 참는다. -<개> 84쪽에서
내가 똥을 먹었다고 해서 영수는 나를 더러운 놈으로 취급하지는 않았다. 세 살쯤 되어서 영수는 나를 끌어안고 주무르면서 별 장난을 다 했다. -<개> 8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