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농원 전경인권위 김윤섭
전북 남원의 전망대 커피숍에서 그를 만났다. 남원시 전경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에서 한센병력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은 오른손을 당당하게 내밀며 악수를 청하는 그의 표정이 밝았다. 혹시나 선입견이나 편견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는 초면의 나를 오히려 그가 먼저 거리낌 없이 속시원하게 맞아 주었다.
“한센인 중에서 나는 병의 후유증도 약할 뿐만 아니라 너무나 힘겹게 살아가는 분들이 정말 많기 때문에 사실은 자격미달이다”라며 인터뷰를 극구 사양했다. 그러나 그의 말처럼 경증에 불과하더라도 이미 주홍글씨처럼 한 번 한센인으로 낙인찍힌 그에게 우리 사회는 냉대와 편견으로 그를 가만 두지 않았다.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최광현씨, 그의 지난한 삶과 소록도 간호사 출신의 아내와 가꾼 사랑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힐끗힐끗 성춘향과 이몽룡의 애틋한 사랑이야기로 유명한 광한루를 내려다보았다. 한센인이던 한하운 선생의 시 ‘전라도 길-소록도 가는 길’이 말해 주듯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 숨막히는 더위뿐이더라 // 낯선 친구 만나면 / 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던 한센인의 비애감을 새삼 알 것도 같다.
그는 자신을 당당히 내세우면서도 얼굴 사진을 찍거나 아내와 아이들의 인적사항을 밝히는 것을 꺼렸다. 자신과 아내가 지금껏 당해온 것은 그래도 견딜 만하지만, 행여 아이들에게까지 사회적 편견이라는 깊은 상처가 대물림되는 것이 걱정된다고 했다. 신생농원 그의 집으로 자리를 옮겨 옥수수를 먹으며, 돼지 사료를 주며, 돼지 똥을 치우며 그의 힘겨운 인생유전의 편린들을 엿보았다.
최씨는 1961년 충북 보은군에서 태어났다. 불우한 가정에서 자라 6세 때 아버지를 잃고, 또 11세 때 어머니를 잃을 무렵 설상가상으로 한센병을 앓기 시작했다. 오른손잡이인 그에게 병증이 나타나 글씨를 쓸 수도 없었지만, 순식간에 고아가 되어 학교를 그만두고 독학을 할 수밖에 없었다.
지독한 가난과 더불어 초등학교도 졸업하지도 못해 그저 주는 밥이나 먹는 ‘새끼머슴살이’를 1년 정도 하다가 13세 때 가출했다. 그러나 이미 오른손에 병증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니 공장 같은 곳에 취직할 수도 없었다. 당시까지도 자신은 그것이 한센병인지 몰랐다고 한다.
서울의 영등포역이나 청량리역, 인천의 제물포 등에서 16세 때까지 노숙자 생활을 했다. 말이 노숙자지 사실은 녹십자혈액원에 피를 파는 ‘매혈자’로 살았다. 그러나 매혈도 중독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시름시름 죽어가는 노숙 매혈자들의 진심 어린 충고에 “이렇게 살아서는 안 되겠다”며 정신을 차렸다.
그 무렵 고향인 충북 보은에 큰 수해가 났다는 소식을 듣고 수해복구 현장으로 가서 막일을 시작했다. 충북 옥천의 댐과 도로건설 공사에도 참여하며 삶의 의지를 불태우다 17세 때부터 21세까지 청주의 제빵공장에서 4년간 일하기도 했다.
그러나 1981년 1월 21일, 소록도로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먼저 소록도에 들어간 동생을 면회하러 갔다가 면회 도중에 “당신도 입원하라”는 충격적인 말을 들었다. 조직검사 결과 양성반응이 나왔으니 그의 나이 만 20세 때의 일이다.
소록도 원생이 3000명에 이르던 시절, 소록도에서는 인력이 모자라 간호양성소를 운영했는데, 지금의 아내도 이 양성소 출신이다. 처음엔 그저 아내에게 우편물을 전해주거나 함께 커피를 마시는 정도였다. 그들은 알게 모르게 서서히 가까워지긴 했으나, 간호사와 환자라는 선을 분명히 하고 만날 수밖에 없었다.
주말이면 신병동인 녹색리로 아내가 놀러오곤 했다. 나이 차이는 불과 세 살이었지만 아내는 그를 ‘아저씨’라 불렀다. 그러던 어느 날 뜻밖에도 아내에게서 주말에 광주로 한번 놀러오라는 편지를 받았다. 마침내 감시나 질시의 눈초리가 없는 광주에서 자유롭게 만난 그들은 영화 <오델로>를 보는 등 난생 처음 ‘데이트’를 즐겼다. 그리고 섬으로 돌아오면서 서로 깊이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기에 이른다.
그러나 이 사실을 알게 된 아내의 친구가 이를 부모에게 알렸고, 부모는 ‘더 가까워지기 전에 인연의 끈을 끊어야겠다’며 1986년에 아내를 광주보훈병원으로 이직시키고 말았다. 그러나 죽으란 법은 없었다. 소록도에서는 드러내놓고 사랑을 표현할 수도 없었지만, 광주보훈병원으로 간 후 오히려 섬에서보다 자유로워졌다. 자주는 못 만났지만 그래도 광주에서 만나면 차라리 편했다.
소록도를 떠나 정착촌으로
한센병은 어쩔 수 없는 가난의 질병이었다. 몸은 건강했지만 일할 수도, 일할 곳도 없었다. 그는 스물여섯의 젊은 나이에 마음도 몸도 이미 소록도화 했던 것이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소록도를 빠져나가는 일이었다. 1988년부터 전국 30여 군데의 정착촌을 다녀봤으나 모두 엄청난 돈이 필요했다. 결국은 아내를 가까이서 볼 수 있는 벌교의 외서정착촌을 선택했다. 어렵사리 빚을 내 집을 구했지만 이후 주머니엔 달랑 8만원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