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 미국 뉴욕, 워싱턴을 강타한 자살테러로 화염에 휩싸인 세계무역센터.연합뉴스
사상 초유의 테러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는 9·11 테러 5년이 지난 지금, 미국은 이 테러 사건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세 나라들과 전면적인 대결 상태에 있다. 부시 행정부가 2002년 1월 연두교서에서 지목한 '악의 축' 국가들인 이라크·이란·북한이 바로 그들이다.
후세인과 알-카에다와의 연계 및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을 들고 이라크를 침공한 부시 행정부는 침공의 명분은 모두 잃은 채, '21세기판 베트남 신드롬'에 빠져들고 있다. 이미 이라크에서의 미군 사망자 수는 9·11 테러 희생자 수에 육박하고 있고, 종족갈등으로 얼룩지고 있는 이라크의 현실은 미국의 위선을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있다.
북한은 이미 10개 안팎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을 확보하고 탄도미사일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력은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이 안 되고, 제재와 봉쇄는 북한의 핵무장을 재촉하고 있을 뿐이다.
이란도 '핵 카드'를 들고 미국과의 맞짱뜨기에 나서고 있다. 개혁파인 하타미 대통령에 이어 집권한 강경 성향의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무시하면서까지 '핵 주권'을 외치고 있다.
이에 대해 네오콘을 중심으로 미국 내 일각에서는 이란 핵시설에 대한 선제공격론이 나오고 있지만, 상당수의 미국인들조차 이는 '미친 짓'이라고 보고 있다. 이란마저도 핵보유국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는 이제 더 이상 기우가 아닌 것이다.
국내 개혁과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던 하타미의 이란을 '악의 축'으로 규정한 부시 행정부의 자업자득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흔히 이들 세 나라의 공통점으로 '악의 축' 국가들이라는 점이 떠오를 것이다. 그러나 이보다 더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 이라크·이란·북한 모두 9·11 테러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시 행정부와 보수 언론의 '이미지 만들기'가 성공한 탓인지, 상당수의 미국인들은 이들 국가에 대한 부시 행정부의 강경책을 '테러와의 전쟁'의 일환으로 이해하고 있다.
성찰과 자기정화 능력을 상실한 미국과 이들 세 나라의 운명이 걱정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평화네트워크 대표와 한겨레평화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저의 관심 분야는 북한, 평화, 통일, 군축, 북한인권, 비핵화와 평화체제, 국제문제 등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