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 표지자음과모음
<불꽃>(자음과 모음, 2006)은 우리나라 대표적 무용가이자, 아시아 최고의 춤꾼으로 꼽혔던 최승희의 자서전이다.
가난한 어린시절과 처음으로 무용을 접하게 된 사연, 무용가로서 한창 활동하던 청년기까지의 육필원고 11편이 담겨있다. 1부 ‘영혼의 몸짓’에 최승희가 직접 쓴 회고록과 오빠 최승일과 주고받은 편지가 실렸다. 2부 ‘민족혼의 승화’에는 최승희가 활동하던 당시 국내외 언론인, 예술인들의 최승희 무용평론이 실렸다.
이 책 <불꽃>은 1936년에 나왔던 최승희 자서전 <나의 자서전>의 판권을 출판사가 북한에 거주하는 최승희 친척으로부터 사들여 70년 만에 다시 발간한 것이다. 최승희가 무용가로서 이름을 날리기 시작하던 청년기의 고뇌가 담겨있지만, 이후 삶은 볼 수 없어 다소 아쉬운 감이 있다.
최승희의 삶은 책 제목처럼 ‘불꽃’ 그 자체였다. 그는 몰락한 양반가에서 태어나 가난과 배고픔 속에 어린시절을 보내고, 일본으로 건너가 현대무용을 최초로 배운 조선여성이 된다. 타고난 재능과 불굴의 의지로 아시아 최고의 춤꾼으로 찬사 받으며 대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는다.
그러나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고, 1941년 급기야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한반도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천황에 대한 충성을 강요당하고, 민족혼은 위기에 처한다. 당시 저명한 조선인 예술가나 지식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최승희의 예술혼도 제국주의 올무에 묶이게 된다.
일제는 최승희를 홍보도구로 삼아 전선위문공연을 다니게 했고, 이때의 활동이 친일행적으로 남아 최승희 인생에 큰 오점이 된다. 해방 후 그는 활동무대였던 경성을 떠나 월북한다. 친일행적이 걸림돌이 되었으나,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가였던 남편 안막이 월북하였기 때문에 그도 뒤이어 1947년 북으로 간다.
대중예술 고급화에 기여한 최승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