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예술단 뮤지컬 '이' 11월 10일부터 12월 3일까지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에서 공연되고 있다서울예술단
올해 초 영화계 아니 사회 전체가 <왕의 남자> 증후군에 빠져들었다. 이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은 사람만 1천만을 훌쩍 넘겼다. 요사이 이런 소위 대박 영화가 한 해 두어 편씩 나오는 바람에 관객 1천만도 조금 싱거워진 느낌도 없지 않지만, 인구 4명 중 한 사람이 봤다는 것은 체감지수를 여부와 상관없이 대 기록임에 분명하다.
서울예술단(이사장 정재왈)이 올해 <바람의 나라>에 이어 <왕의 남자> 원작인 연극 대본을 기반으로 뮤지컬 <이(爾)>를 야심차게 무대에 올렸다. 본래 연출을 맡기로 한 장유정이 작사가로 임무를 바꾸고, 원작자인 김태웅이 직접 연출자로 나선 것도 눈길을 끌었다. 뮤지컬 ‘이’는 <왕의 남자> 프리미엄을 등에 없고 10일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막을 올렸고, 다음달 3일까지 공연이 이어질 예정이다.
뮤지컬 <이>에 대해서 공연계 주변에서는 반신반의의 기대와 우려가 존재했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벗긴 <이>는 기대보다는 우려를 확인하게 했다. 아니 어쩌면 <이>에 대해서 너무 지나친 건 기대는 제작자에게 너무 큰 부담과 의욕을 자극했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왕의 남자>에 기대려는 단순한 계산이 무리였을 수도 있다.
연극계의 한 원로 배우는 “무엇보다 원작자를 연출로 기용한 것이 무리가 아니었나”고 하면서 “연극과 뮤지컬을 한 작품에 모두 담으려다 보니 의욕과 달리 어느 쪽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 연극으로 처음 만들어져 뮤지컬화하는 과정에서 연극의 살을 뺐어야 한다는 뜻이다.
또한 공길 역 최성원의 홈페이지에 관람평을 쓴 소요라는 닉네임의 한 팬은 “원작자로서 위험할 수도 있는 도전을 한데는 박수를 보내지만, 때론 애정이 독이 되는 법. 개인적으로 연출은 다른 뮤지컬 전문가에게 맡겼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라고 연출의 문제를 꼬집었다. 그리고 그에 달린 댓글들도 하나같이 공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