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에서 만난 북한과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결국 회담 재개 일정을 잡지 못하고 헤어졌다. 사진은 지난 2005년 7월 26일김계관 북한측 대표와 크리스토퍼 힐 미국측 대표가 1단계회담 개막식에서 밝은 모습으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전수영
중국 베이징에서 만난 북한과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결국 회담 재개 일정을 잡지 못하고 헤어졌다. 6자회담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사전접촉 형식의 이번 회동에서 양측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지난 2일 북·미·중 베이징 회동에서 전격적인 6자회담 재개 합의 발표로 부풀어올랐던 북핵문제의 대화 해결에 대한 기대감은 다시 바람이 빠지고 있는 느낌이다. 조속한 협의 재개를 통해 진전이 이뤄지지 못한다면 당초 예정했던 12월 초반 개최가 어려워지고, 이어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 휴가가 이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북핵문제는 상당 기간 표류할 수밖에 없는 정황이다.
북·미·중 협의는 28~29일 합쳐 약 15시간에 걸쳐 마라톤 회의로 이어졌다. 중국이 자리를 주선했지만 북·미 간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지도록 도중에 자리를 피해줘 양자접촉과 3자접촉을 병행하는 형식이었다고 한다.
핵 포기 로드맵의 실천 요구하는 미국
회담의 쟁점이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지는 현재로선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 갖가지 보도가 난무하고 있지만 대체로 '추론' 수준이다. 정부 당국자들은 회담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상식 선의 설명만 하고 있다.
중국은 말할 것도 없고 미국이 한국이나 일본 정부에 회담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지조차 의문이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차관보가 30일 서울에서 예정됐던 유명환 외교부 제1차관과의 조찬 약속도 취소하고 곧바로 귀국한 것은 미국의 자세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미국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으며, 6자회담은 2005년 합의된 '9·19 성명'을 이행하기 위한 모임이라는 입장에서 협의에 임하고 있다는 점이다. 북한에게서 상황을 핵실험 이전으로 되돌리는 것은 물론, 핵개발 프로그램 포기를 위한 로드맵(road map)의 구체적 실천의지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힐 차관보는 베이징으로 출발하기 직전 워싱턴에서 가진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 측으로부터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한 그들의 태도가 진심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눈으로 확인하고 싶고, 회담 테이블로 돌아갔을 때 될 수 있으면 빨리 비핵화 약속을 얻어내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주목되는 '남·북·미 정상 간 종전선언 공동서명'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