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동물일지라도 다른 동물을 평생 가둬키우다 잡아먹지 않는다.factoryfarming.com
돼지·개 등 포유류의 경우 안락사라고 하면서 마취 없이 근육마비제로 도살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정확한 도살방법은 밝히지 않고 있다. 조류의 경우는 이산화탄소와 포르말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조류독감 발생시 '접촉가능성이 있는 가금류·돼지·염소 등은 신속히 살처분한다'는 방침을 정해놓았지만 인도적 도살방법에 대한 대책은 세우지 않고 있다.
그러한 의식은 이번 동물보호법 개정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동물보호법 개정에 대한 자문을 맡은 농림해양수산위 의원들은 동물보호에 대한 기본지식과 마인드가 전혀 없는 게 아닌가 의심이 될 정도로, 동물보호법을 동물을 '보호하는 법'이 아닌 동물을 쉽게 '이용하는 법'으로 만들기 원하는 것 같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발병 경위나 감염 경로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보다는 질병이 발생하면 감염농장 일대를 봉쇄하고 살처분하기에 급급하며,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정보공개를 꺼리는 농림부, 수의과학검역원, 익산시는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방역작업에 공무원은 찾아볼 수 없고 힘없는 환경미화원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공무원들은 중요한 정보는 모른다고 발뺌만 하고 있다. 예방은커녕 주먹구구식 위기대응에 급급한 정부는 죽이고 파묻는 것 말고, 침출수 등 감염지역 일대를 철저하게 소독하는 그 복잡한 과정을 제대로 처리하리라고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는 점점 더 강력한 질병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는 공장식 축산 방식을 유지확대 하려는 정책을 폐기해야 한다. 축산물의 소비와 생산을 줄여가며 점차 친환경 축산으로 전환해가야 한다. 나아가 유기농 식물농사를 확대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광우병, 구제역, 조류독감 등은 동물을 결코 생명취급하지 않는 인간들로 인하여 예견되어진 재앙일 따름이다. 그로 인한 환경파괴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
쿠바는 소련으로의 설탕수출과 비료농약 원조가 끊기자, 89년부터 농업혁명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는 수백만 톤의 비료·농약·살충제·제초제·유전자 조작된 씨앗이 사라지고, 대신 식량 자급률이 98%에 달하고 있으며 거의가 무농약으로 생산된다고 한다. 기본적인 식량은 배급되고 있으며 유기농을 누구나 싸게 사 먹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런 쿠바의 경험은 갑작스런 정책 전환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해 보이고 있다.
수시로 농장동물을 파묻어야 하는 축산농민들이 살아갈 수 있는 길은 과연 무엇인가. 이번에 AI가 최초 발생한 이모씨 농장의 경우도 2년 전 양계를 시작해 계속 손해를 봐오다가 결국 이런 일을 당했다고 한다.
말고기 산업까지 육성하며 대책 없이 축산업을 장려해 온 정부정책의 최대의 피해자는 다름 아닌 축산농민들이다. 우리도 '농업혁명'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위기상황임을 직시해야 한다. 그것이 곧 FTA로 인한 위기의 본질적 해결방안이기도 하다. 물론 점진적인 전환도 가능하겠지만 지금의 정부 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다.
"무차별 살상에 대한 항의로 개 살상을 중지시켜 주십시오"